[비즈니스포스트] 아파트 매매 시장 위축 속에 전세가율 상승세가 이어졌다.
2일 KB부동산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7.99%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이 2022년 11월 표본을 확대 개편한 뒤 최고치로 기록됐다.
서울과 경기 전세가율도 각각 54.06%와 65.96%로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높았다.
'전세가율'은 매매가를 기준으로 한 전세가격 비율이다.
최근의 전세가율 상승은 지난해말 계엄사태에서 시작된 정치적 불확실성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등에 따라 아파트 매매시장이 위축된 탓으로 보인다.
다만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내림세를 이어갔다.
1월 전국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69.82%, 서울은 70.11%로 KB국민은행이 표본을 개편한 이래 가장 낮았다.
전세사기가 최근 몇 년 사이 화두가 되면서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연립주택 전세가율 하락은 임대인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반환보증 가입 요건을 맞추기 위해 전세 보증금을 낮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환 기자
2일 KB부동산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7.99%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이 2022년 11월 표본을 확대 개편한 뒤 최고치로 기록됐다.
▲ 아파트 매매 시장 위축 속에 전세가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서울과 경기 전세가율도 각각 54.06%와 65.96%로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높았다.
'전세가율'은 매매가를 기준으로 한 전세가격 비율이다.
최근의 전세가율 상승은 지난해말 계엄사태에서 시작된 정치적 불확실성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등에 따라 아파트 매매시장이 위축된 탓으로 보인다.
다만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내림세를 이어갔다.
1월 전국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69.82%, 서울은 70.11%로 KB국민은행이 표본을 개편한 이래 가장 낮았다.
전세사기가 최근 몇 년 사이 화두가 되면서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연립주택 전세가율 하락은 임대인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반환보증 가입 요건을 맞추기 위해 전세 보증금을 낮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