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시각주기유도시스템의 국산화를 통해 비용절감과 안전성 강화를 도모한다.
인천공항공사는 탑승동 지역 공항운영 핵심장비인 시각주기유도시스템(VDGS,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을 기존 외국산 제품에서 국산 제품으로 대체하는 개량사업을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시각주기유도시스템은 항공기가 터미널 주기장에 진입해 정지할 때까지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최첨단 안내시스템을 말한다. 항공기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기종별 정지점까지의 거리 등 항공기 주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인천공항공사는 2020년 8월 국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국산화 개발을 완료한 후 안전인증,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중소기업 성능인증을 취득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지난해에는 현장 검증과 시험운영을 거쳐 화물터미널과 T2 확장지역에 순차적으로 도입해 해당 제품을 운영했다.
이번 개량사업은 시설노후로 교체가 필요한 탑승동 주기장 30개소의 외국산 제품을 국산 개발품으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기존보다 약 31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사업기간을 6개월 이상 단축함으로써 서비스 중지기간을 최소화했다.
앞으로 인천공항에 설치된 전체 시스템을 국산화하면 외국산을 사용할 때보다 약 150억 원의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산제품은 기존 외국산 시스템에는 없던 실시간 기상정보(저시정/낙뢰), 음성안내 등 안전개선 기능이 대폭 적용됐다. 인천공항공사는 중소기업과 협력을 통해 공사의 요구사항과 맞춤형 신규 기능을 적극 개발할 수 있어 공항운영 효율 및 조업안전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국산 시각주기유도시스템의 도입 확대는 인천공항의 공항산업분야 기술경쟁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공항운영 핵심시스템의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디지털 기술 및 공항운영 역량을 강화해 안전하고 편리한 공항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
인천공항공사는 탑승동 지역 공항운영 핵심장비인 시각주기유도시스템(VDGS,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을 기존 외국산 제품에서 국산 제품으로 대체하는 개량사업을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 인천국제공항 시각주기유도시스템. <인천국제공항공사>
시각주기유도시스템은 항공기가 터미널 주기장에 진입해 정지할 때까지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최첨단 안내시스템을 말한다. 항공기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기종별 정지점까지의 거리 등 항공기 주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인천공항공사는 2020년 8월 국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국산화 개발을 완료한 후 안전인증,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중소기업 성능인증을 취득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지난해에는 현장 검증과 시험운영을 거쳐 화물터미널과 T2 확장지역에 순차적으로 도입해 해당 제품을 운영했다.
이번 개량사업은 시설노후로 교체가 필요한 탑승동 주기장 30개소의 외국산 제품을 국산 개발품으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기존보다 약 31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사업기간을 6개월 이상 단축함으로써 서비스 중지기간을 최소화했다.
앞으로 인천공항에 설치된 전체 시스템을 국산화하면 외국산을 사용할 때보다 약 150억 원의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산제품은 기존 외국산 시스템에는 없던 실시간 기상정보(저시정/낙뢰), 음성안내 등 안전개선 기능이 대폭 적용됐다. 인천공항공사는 중소기업과 협력을 통해 공사의 요구사항과 맞춤형 신규 기능을 적극 개발할 수 있어 공항운영 효율 및 조업안전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국산 시각주기유도시스템의 도입 확대는 인천공항의 공항산업분야 기술경쟁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공항운영 핵심시스템의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디지털 기술 및 공항운영 역량을 강화해 안전하고 편리한 공항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