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 자국 전기차에 불법 보조금 없다 재차 반박, “제품 경쟁력 높아”

▲ 중국 BYD가 5일 브라질 수아페 항구에서 친환경차를 하역하고 있다. BYD는 7천 대의 차량을 운반할 수 있는 선박을 자체적으로 구매해 사용하고 있다. < BYD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외교부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저촉되는 보조금을 전기차 기업들에 제공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자국 전기차 기업들이 보조금이 아닌 제품 경쟁력으로 세계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6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중국 정부는 전기차 기업들에 WTO가 금지하는 보조금을 제공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현지 전기차 제조사에 국제법에 위반하는 성격의 보조금을 지원해서 가격이 낮은 차량의 수출 확대를 유도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의혹에 근거해 관세 인상과 불법 보조금 조사를 벌이는 상황이다 보니 외교부 대변인 차원에서 반박하는 의견을 공식적으로 내놓은 것이다. 

마 대변인은 “2023년 중국이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는 고작 1만3천여 대에 불과하다”라며 “미국 시장에 중국산 전기차가 넘쳐난다는 주장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근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이 서구 기업들보다 성능에 우위를 보이는 제품을 내놓다 보니 세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 장관 또한 4월7일 자국 기업들이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으며 기술 혁신과 공급망 구축에 성공해 시장 경쟁에서 앞서나간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불법 보조금으로 가격 경쟁력을 강화해 판매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제품 자체 성능에 기반해 세계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는 주장이 중국 주요 행정부처들에서 반복해서 나오는 셈이다. 

마 대변인도 “중국 전기차가 서구 제품들보다 비교우위를 가지기에 국제 시장에서 널리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