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감독원이 4월부터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처음 현장검사를 실시한다.
31일 금감원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4월8일부터 2주 동안 새마을금고 현장검사를 진행한다.
금감원이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새마을금고는 이전까지 금융위원회가 아닌 행정안전부가 관리·감독해왔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자산 규모가 비교적 큰 개별 금고 4곳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한다.
연체율을 비롯한 자산건전성 관리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계획을 세워둔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5.07%였다. 1년 전보다 1.48%포인트 급등한 것이다.
금감원의 첫 현장검사는 금융위와 행안부가 앞서 2월 맺은 업무협약에 따른 것이다. 두 부처는 협약에 따라 금감원과 예보, 새마을금고중앙회를 세 축으로 하는 검사협의체를 구성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6월 말 ‘뱅크런(예금인출)’ 사태를 겪었다. 방만한 경영 때문에 해당 사태가 벌어져 현재 소관부처 행안부 책임도 있다는 지적이 나와 전문성을 갖춘 금융위가 관리감독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김환 기자
31일 금감원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4월8일부터 2주 동안 새마을금고 현장검사를 진행한다.

▲ 금융감독원이 새마을금고 대상 첫 검사에 착수한다.
금감원이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새마을금고는 이전까지 금융위원회가 아닌 행정안전부가 관리·감독해왔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자산 규모가 비교적 큰 개별 금고 4곳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한다.
연체율을 비롯한 자산건전성 관리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계획을 세워둔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지난해 말 기준 5.07%였다. 1년 전보다 1.48%포인트 급등한 것이다.
금감원의 첫 현장검사는 금융위와 행안부가 앞서 2월 맺은 업무협약에 따른 것이다. 두 부처는 협약에 따라 금감원과 예보, 새마을금고중앙회를 세 축으로 하는 검사협의체를 구성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6월 말 ‘뱅크런(예금인출)’ 사태를 겪었다. 방만한 경영 때문에 해당 사태가 벌어져 현재 소관부처 행안부 책임도 있다는 지적이 나와 전문성을 갖춘 금융위가 관리감독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