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금융지주가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보다 회사채 발행 등으로 자금을 확보해 한국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을 늘릴 것으로 전망됐다.
김남구 부회장이 보유한 한국투자금융의 지분이 비교적 적어 대주주의 지분율이 떨어지는 유상증자 방식을 선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
|
|
▲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 |
원재웅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9일 “한국투자금융이 회사채나 기업어음(CP)을 발행해 자금을 확보한 뒤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의 자본확충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한 초대형 투자금융(IB)회사 육성방안에 따르면 자기자본 4조 원 이상을 보유한 증권사는 자기자본의 200% 한도 안에서 만기 1년 이내의 어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외국환거래도 허용된다.
이 때문에 한국투자금융이 유상증자를 실시해 8천억 원 이상을 마련한 뒤 한국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을 4조 원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돌았는데 그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상반기 기준으로 자기자본 3조2672억 원을 보유했다.
원 연구원은 “김남구 부회장은 한국투자금융의 대주주이지만 보유한 지분이 비교적 적은 편인 점을 감안하면 지분율을 희석시키면서 유상증자를 할 가능성이 낮다”고 바라봤다.
김 부회장은 한국투자금융 지분 20.23%를 보유하고 있는데 다른 금융회사 오너인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67.69%)이나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33.78%)와 비교해 낮은 수준이다.
한국투자금융은 2011년 10월에 한국투자증권에서 실시한 유상증자 과정에 참여해 자기자본을 3조 원 이상으로 늘리는 일을 지원했는데 이번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원 연구원은 내다봤다.
일각에서 한국투자금융이 상반기 기준으로 이중레버리지비율 118%을 기록해 회사채 발행이 어렵다는 시각도 있지만 원 연구원은 꼭 그렇지 않다고 파악했다.
이중레버리지비율은 모회사에서 자회사에 투자한 주식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지표로 100% 이상이면 모회사에서 돈을 빌려 자회사에 출자했다는 뜻이다. 이 비율이 130%를 넘어서면 금융감독원의 경영실태평가 2등급 기준을 초과해 일부 규제완화 혜택 등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원 연구원은 “한국투자금융이 회사채를 발행해 이중레버리지비율이 상승해도 자회사의 배당금을 확보하면 점차 하락할 것”이라며 “이자비용도 늘어날 수 있지만 저금리가 이어지는 만큼 수익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도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