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건설이 참여해 세워진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의 모습. <한화건설> |
[비즈니스포스트] 변화하는 해외 건설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민관협력사업(PPP) 진출을 위한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6일 건설동향브리핑 944호에 실린 ‘해외건설 수주 실적에 관한 고찰과 향후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진단을 내놨다.
한국 건설시장의 어려움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기업까지 해외시장 진출에 힘을 주고 있으나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으로 분석됐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기업과 비교하면 국내 기업들은 가격경쟁력에서 열위와 기술격차 축소 등으로 도급형 사업에서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바라봤다.
특히 중국 기업들의 해외 건설사업 진출이 점점 가속화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대형 건설기업들은 자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해외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일대일로 사업과 같은 정부 차원의 대규모 지원과 중국이 주도하는 다양한 정치, 경제 공동체를 기반으로 중국 건설기업들은 해외 건설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주요 개도국에서는 도급형 사업보다는 민관협력사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앞으로 10년 동안 전세계 인프라 필요 투자액은 39조7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며 “주요 개도국에서는 국채 발행을 통한 대규모 재원 조달의 어려움, 차관 도입에 따른 부채 증가 등을 고려해 민관협력사업을 비롯한 민간 투자 유치 등을 통한 사업 추진 기조가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건설시장에서 기존의 도급형 사업보다는 민관협력사업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에서도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한국에서는 해외 건설시장의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급형 위주의 사업구조를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전환하고자 그동안 다양한 노력을 추진하였음에도 도급형 비중이 월등히 높은 상황”이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업과 정부의 지속적 관심과 역량 결집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건설기업들은 민관협력사업과 관련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해외건설 수주 상위 10대 기업 중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가 선진기업과 제휴를 바탕으로 민관협력사업 수주성과를 기록했고 현대건설도 지역별 진출전략을 마련해 수주를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만 그간 민관협력사업 진출 필요성이 지속해서 제기된 점을 고려하면 우리 건설기업의 성과는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유럽기업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단기적으로 우리 기업 진출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여겨진다.
김 부연구위원은 “우리 기업들은 민관협력사업으로의 진출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면서 교통 인프라 시설을 중심으로 실제 사업을 수주하고 있지만 일부 기업의 노력이 부족한 점은 다소 아쉽다”며 “대규모 민관협력사업에서 정부 간(G2G) 수출계약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인프라 건설 분야 한정으로 대외무역법 제32조의3 ‘정부 간 수출계약의 전담기관’을 예외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