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월25일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에 위치한 미르니에서 한 남성이 러시아 해군의 카모프 Ka-27 헬기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러시아를 향한 전략물자 수출을 통제하고 있는데 이러한 규제에 허점이 노출된 셈이다.
25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러시아의 세관 자료를 확보해 미국과 유럽연합에서 제조된 약 10억 달러(약 1조3380억 원) 규모 반도체가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러시아로 수입됐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러시아의 전체 반도체 수입액은 17억 달러(약 2조2732억 원)로 집계됐다. 미국과 유럽산 반도체가 전체의 58.8%를 차지하는 것이다.
미국 반도체기업인 인텔과 AMD, 유럽 차량용 반도체 기업인 인피니온과 NXP 등의 반도체가 러시아에 흘러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는 인텔과 AMD 반도체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러시아가 중국과 튀르키예 등 제3 국가를 거쳐 우회적으로 미국과 유럽의 반도체를 확보했을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미국과 유럽연합은 러시아가 자국산 반도체를 군사무기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우회 수출 경로까지 차단하려 노력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 한 것으로 해석된다.
블룸버그는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미국과 유럽연합이 러시아에 첨단 기술 수출을 규제하고 있었지만 어려움에 직면했다”며 “러시아는 이들 반도체를 활용해 미사일과 탱크 등 무기를 계속 생산할 수 있었다”고 보도했다.
유럽연합은 회원국들이 러시아뿐 아니라 제3 국가에도 반도체 등 수출을 더욱 엄격히 규제하도록 하는 새로운 제재안을 준비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해당 기업들이 유럽 규제를 준수하고자 러시아 내 사업을 중단했으며 반도체가 어디로 유통되는지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