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크래프톤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 서비스 재개로 연간 1천억 원의 매출이 더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윤예지 하나증권 연구원은 24일 크래프톤 목표주가를 기존 25만 원에서 27만 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23일 크래프톤 주식은 19만9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윤 연구원은 “중단됐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는 6월 초 서비스가 재개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BGMI의 연간 매출 기여액은 1천억 원에 이를 것이다”고 내다봤다.
윤 연구원은 “BGMI는 그동안 업데이트나 신규 다운로드는 불가했지만 구형 빌드로 플레이는 가능했던 만큼 트래픽 감소는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며 “고강도 마케팅을 통해 3분기에는 과거 매출 규모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앞서 19일 인도 정부는 지난해 7월부터 크래프톤의 BGMI에 내려진 차단 조치를 해제했다.
크래프톤은 인도 기업에 대한 투자도 지속하고 있다.
윤 연구원은 “크래프톤이 게임 개발사,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기타 콘텐츠 기업 등 1천 억 원 이상을 인도에 투자했다”며 “인도 게임이 성장함에 따라 BGMI를 통한 성과뿐만 아니라 투자수익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크래프톤은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9천억 원, 영업이익 785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2.4%, 영업이익은 4.3% 각각 증가하는 것이다. 임민규 기자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 서비스 재개로 연간 1천억 원의 매출이 더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 BGMI 서비스 재개로 크래프톤의 매출 상승이 전망되며 목표주가도 높아졌다.
윤예지 하나증권 연구원은 24일 크래프톤 목표주가를 기존 25만 원에서 27만 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23일 크래프톤 주식은 19만9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윤 연구원은 “중단됐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는 6월 초 서비스가 재개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BGMI의 연간 매출 기여액은 1천억 원에 이를 것이다”고 내다봤다.
윤 연구원은 “BGMI는 그동안 업데이트나 신규 다운로드는 불가했지만 구형 빌드로 플레이는 가능했던 만큼 트래픽 감소는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며 “고강도 마케팅을 통해 3분기에는 과거 매출 규모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앞서 19일 인도 정부는 지난해 7월부터 크래프톤의 BGMI에 내려진 차단 조치를 해제했다.
크래프톤은 인도 기업에 대한 투자도 지속하고 있다.
윤 연구원은 “크래프톤이 게임 개발사,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기타 콘텐츠 기업 등 1천 억 원 이상을 인도에 투자했다”며 “인도 게임이 성장함에 따라 BGMI를 통한 성과뿐만 아니라 투자수익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크래프톤은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9천억 원, 영업이익 785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2.4%, 영업이익은 4.3% 각각 증가하는 것이다. 임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