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직방 이용자 10명 가운데 7명은 2023년에 주택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내려갈 거라고 전망했다.
2일 부동산 정보 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12월12일부터 26일까지 15일 동안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3089명을 대상으로 주택 매매가격 관련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77.7%(2400명)가 “2023년에도 주택 매매가격이 낮아질 것으로 본다”고 대답했다.
상승할 것이란 응답은 10.2%(315명)였고 보합 의견은 12.1%(374명)이었다.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로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58.2%)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그 뒤로는 경기 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6.4%)의 순서로 집계됐다.
올해 전셋값도 응답자 10명 가운데 7명(69.5%)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보합은 17.4%, 상승은 13.1%을 기록했다.
전셋값이 낮아질거란 이유로 '이자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가 48.7%로 가장 많았다.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8.2%),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2.6%), 갭투자 관련 전세 매물 증가(11.1%)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직방 관계자는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부담 증가와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 전망 의견이 많았고 매매와 전세 모두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많았다”고 말했다.이근호 기자
2일 부동산 정보 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12월12일부터 26일까지 15일 동안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3089명을 대상으로 주택 매매가격 관련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77.7%(2400명)가 “2023년에도 주택 매매가격이 낮아질 것으로 본다”고 대답했다.

▲ 부동산플랫폼 직방이 앱 사용자를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10명 가운데 7명은 2023년에 주택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고 답했다. 사진은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연합뉴스>
상승할 것이란 응답은 10.2%(315명)였고 보합 의견은 12.1%(374명)이었다.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로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58.2%)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그 뒤로는 경기 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6.4%)의 순서로 집계됐다.
올해 전셋값도 응답자 10명 가운데 7명(69.5%)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보합은 17.4%, 상승은 13.1%을 기록했다.
전셋값이 낮아질거란 이유로 '이자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가 48.7%로 가장 많았다.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8.2%),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2.6%), 갭투자 관련 전세 매물 증가(11.1%)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직방 관계자는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부담 증가와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 전망 의견이 많았고 매매와 전세 모두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많았다”고 말했다.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