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당대표 선거에서 당원투표 반영 비율 확대를 시사했다.

정 위원장은 15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정당의 주인은 당원이고 국가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듯 당의 권력은 당원으로부터 나온다”며 “다가오는 전당대회를 우리 당의 정당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기 위한 절호의 기회로 삼으려한다”고 말했다. 
 
정진석 국민의힘 전당대회 당원투표 비율 확대 시사, "정당 주인은 당원"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2월15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 위원장의 발언은 현재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의 당원투표와 일반국민여론조사 반영 비율이 7대3인데 이를 ‘8대2’나 ‘9대1’, 또는 ‘10대0’ 등으로 변경하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 위원장은 책임당원 수와 세대별 비중 등을 언급하며 당원투표비율이 늘어나면 특정 인물이 불리하다는 일각의 주장을 반박했다. 당 안팎에서 당원투표 비율이 늘어나면 유승민 전 의원 같은 비윤석열계로 분류되는 주자들이 불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정 위원장은 “우리 당의 책임당원은 1년6개월 전 전당대회 때 28만 명이었지만 현재 79만 명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며 “내년부터는 100만에 근접한 책임당원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당의 20대, 30대, 40대 당원은 전체의 약 33%로 50대 이상 연령층이 책임당원을 절대다수를 차지하던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졌다”며 “일각에서 나오는 (당권주자의) 유불리 문제는 해당이 안된다”고 일축했다.

당원투표 비율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로 해외사례도 제시했다.

정 위원장은 “유럽의 내각제 국가든 미국이든 (정당의) 의사결정을 위해 여론조사를 채택한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며 “전당대회는 당원의 총의를 묻는 자리지 국민 인기를 묻는 자리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책임당원과 정당민주주의를 언급하며 ‘당원의 뜻’을 반영해야 한다고 봤다.

그는 “문재인정부를 무너뜨리고 윤석열정부를 탄생시킨 책임당원들에게 당의 미래를 결정할 지도부 선출을 맡기는 건 당연한 일”이라며 “이것이 대한민국 헌법이 정하고 있는 정당민주주의의 가치”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차기 전당대회 관련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정 위원장은 “오늘(15일)부터 비대위는 전당대회 개최방안 논의를 시작하겠다”며 “이번 전당대회를 당원을 위한 전진과 축제로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