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신한은행이 일본 SMBC은행과 엔화를 조달할 수 있는 약정계약을 맺었다.
신한은행은 일본 SMBC은행과 엔화 100억 엔(약 960억 원) 규모의 외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커미티드라인 신규 약정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커미티드라인은 약속한 한도 내에서 외화를 공급받을 수 있는 조달라인을 말한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유동성 경색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 외화 조달수단으로 여겨진다.
외화 유동성 관리를 위해 커미티드라인을 확대해 온 신한은행은 이번 약정체결로 기존의 미화(USD), 유로화(EUR), 위안화(CNY)에 더해 엔화(JPY) 라인을 추가했다.
신한은행은 이 덕분에 국내 시중은행 가운데 최대 규모인 미화 환산 기준 약 11억 달러의 외화 커미티드라인을 보유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약정은 국내 최초로 커미티드라인 약정에 ESG를 연계한 것으로 조달된 자금을 ESG 관련 자산에 활용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유사시에도 ESG 경영을 지속할 수 있게 됐다고 신한은행은 덧붙였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ESG 커미티드라인 신규 약정을 계기로 자금거래와 ESG 분야에서 두 은행의 협력 관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제금융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선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해 외화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
신한은행은 일본 SMBC은행과 엔화 100억 엔(약 960억 원) 규모의 외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커미티드라인 신규 약정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 신한은행이 일본 SMBC은행과 엔화를 확보할 수 있는 자금조달 약정계약을 맺었다고 14일 밝혔다.
커미티드라인은 약속한 한도 내에서 외화를 공급받을 수 있는 조달라인을 말한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유동성 경색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 외화 조달수단으로 여겨진다.
외화 유동성 관리를 위해 커미티드라인을 확대해 온 신한은행은 이번 약정체결로 기존의 미화(USD), 유로화(EUR), 위안화(CNY)에 더해 엔화(JPY) 라인을 추가했다.
신한은행은 이 덕분에 국내 시중은행 가운데 최대 규모인 미화 환산 기준 약 11억 달러의 외화 커미티드라인을 보유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약정은 국내 최초로 커미티드라인 약정에 ESG를 연계한 것으로 조달된 자금을 ESG 관련 자산에 활용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유사시에도 ESG 경영을 지속할 수 있게 됐다고 신한은행은 덧붙였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ESG 커미티드라인 신규 약정을 계기로 자금거래와 ESG 분야에서 두 은행의 협력 관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제금융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선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해 외화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