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년 상반기 글로벌 배터리시장에서 중국 CATL 점유율이 높아지고 LG에너지솔루션 점유율은 떨어졌다. < SNE리서치 >
18일 SNE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CATL이 2022년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업체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CATL은 2022년 상반기 기준 판매량 점유율 34%를 차지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포인트 증가했다. 중국 BYD도 상반기 12%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해 전년보다 5%포인트 늘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0%포인트 감소한 14%에 그쳐 2위에 머물렀다. BYD와 격차는 2%포인트에 불과하다.
삼성SDI의 배터리 판매량 점유율은 같은 기간 1%포인트 줄어든 5%로 6위에 머물렀고 SK온 점유율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1%포인트 늘어난 7%를 기록하며 4위에 올랐다.
중국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배터리 판매실적만 떼어놓고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차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상반기 25.6GWh(기가와트시) 규모 배터리를 공급해 지난해 상반기보다 판매량을 14% 늘렸다.
SK온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24% 급증한 13.6GWh 규모 배터리를 판매해 4위에 올랐다. 삼성SDI는 올해 상반기 9.9GWh를 팔아 판매량이 51% 늘어나며 5위를 기록했다.
다만 중국시장을 제외한 업체별 판매실적에서도 중국기업의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CATL의 배터리 판매량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13% 증가한 16.2GWh를 기록해 3위에 올랐고 신왕다(sunwoda)는 판매량이 363% 급증한 0.6GWh를 보이며 8위를 차지했다.
AESC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판매량이 15% 줄어든 1.7GWh를 기록해 6위에 머물렀다. BYD 판매량은 6% 늘어난 0.3Gwh에 그치며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일본 배터리업체들은 희비가 엇갈렸다.
파나소닉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7% 늘어난 19.9GWh 규모 배터리를 판매해 2위를 기록했다. LEJ 판매량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42% 증가한 0.4GWh를 나타냈다.
다만 PEVE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판매량이 10% 감소한 1GWh로 7위에 머물렀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