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자 윤석열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했다.
합동참모본부(합참)는 북한이 25일 오전 6시, 6시37분, 6시42분경 평양 순안일대에서 발사한 3발의 탄도미사일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기시 노부오 일본 방위상도 이날 오전 북한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밖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합참은 발사된 3발의 탄도미사일의 사거리와 고도 등 구체적인 재원은 아직 발표하지 않았다.
그러나 '동해상'이 아니라 폭이 더 넓은 '동쪽'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볼 때 중장거리 미사일일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미 정보 당국이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발사 준비 동향을 주시해 왔기 때문에 ICBM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소식에 즉각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했다.
윤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한 것은 5월10일 새 정부가 출범한 뒤 처음이다. 지난 12일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했을 때에는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주재한 ‘국가안보실 점검회의’만 열렸다.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뒤 두 번째이며 올해 들어 17번째 무력시위다. 김대철 기자
합동참모본부(합참)는 북한이 25일 오전 6시, 6시37분, 6시42분경 평양 순안일대에서 발사한 3발의 탄도미사일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25일 오전 6시, 6시37분 6시 42분 경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기시 노부오 일본 방위상도 이날 오전 북한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밖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합참은 발사된 3발의 탄도미사일의 사거리와 고도 등 구체적인 재원은 아직 발표하지 않았다.
그러나 '동해상'이 아니라 폭이 더 넓은 '동쪽'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볼 때 중장거리 미사일일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미 정보 당국이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발사 준비 동향을 주시해 왔기 때문에 ICBM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소식에 즉각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했다.
윤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한 것은 5월10일 새 정부가 출범한 뒤 처음이다. 지난 12일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했을 때에는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주재한 ‘국가안보실 점검회의’만 열렸다.
북한의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뒤 두 번째이며 올해 들어 17번째 무력시위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