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이 송도에 위치한 바이오클러스터 ‘스타트업파크’에 바이오 스타트업을 유치하는 데 속도를 낸다.
박 시장은 인천시를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최근 셀트리온이 민간운영사로 참여하면서 힘을 받은 만큼 관련 스타트업의 참여를 이끌어 내 바이오산업의 생태계 구축을 앞당기는 데 힘을 쏟고 있다.
5일 인천시에 따르면 송도 연수구 송도 투모로우시티의 바이오클러스터인 ‘스타트업 파크’가 올해 연말 공식적으로 문을 연다.
스타트업파크에는 2024년 9월까지 241억 원이 투입돼 건설되는 데 박 시장은 이곳이 바이오 스타트업의 중심지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박 시장은 입주기업을 기존 60곳에서 700곳까지 늘리고 종사자도 현재 5천 명에서 2만 명까지 증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목표대로 바이오 스타트업이 입주하면 누적 투자금액도 현재 7조 원에서 15조 원으로, 연 매출액도 2조 원에서 10조 원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인천시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도 기존 56만 리터(L)에서 100만 리터까지 확대하고 세포배양배지(세포배양 재료) 등 바이오 공정 분야 소재·부품·장비 등 원·부자재 수급망도 강화하기로 했다.
박 시장은 이에 필요한 예산 확보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제3차 추경예산에도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 지원센터 설립 등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6월28일 경기일보와 인터뷰에서 “정부 제3차 추경에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 지원센터 설립’ 등 12건, 모두 1414억 원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인천시도 인공지능(AI)과 바이오융합산업 등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성장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스타트업파크에 입주하는 스타트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의 송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고 바이오벤처와 중소 연구개발기업을 위한 연구공간인 ‘K-바이오 혁신센터’도 건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송도에 세운 만큼 바이오 스타트업을 많이 유치하면 할수록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본다.
최근 인천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참여한 셀트리온이 스타트업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해 박 시장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셀트리온은 4년 동안 스타트업 파크의 민간 운영사로 참여해 스타트업의 신약 개발을 돕는다.
또 자가면역, 암, 심혈관질환, 안과질환 등 동물시험에서 효능이 검증된 업체를 선정해 이들이 임상에 진입해 개발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
박 시장은 인천시를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최근 셀트리온이 민간운영사로 참여하면서 힘을 받은 만큼 관련 스타트업의 참여를 이끌어 내 바이오산업의 생태계 구축을 앞당기는 데 힘을 쏟고 있다.

▲ 박남춘 인천시장.
5일 인천시에 따르면 송도 연수구 송도 투모로우시티의 바이오클러스터인 ‘스타트업 파크’가 올해 연말 공식적으로 문을 연다.
스타트업파크에는 2024년 9월까지 241억 원이 투입돼 건설되는 데 박 시장은 이곳이 바이오 스타트업의 중심지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박 시장은 입주기업을 기존 60곳에서 700곳까지 늘리고 종사자도 현재 5천 명에서 2만 명까지 증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목표대로 바이오 스타트업이 입주하면 누적 투자금액도 현재 7조 원에서 15조 원으로, 연 매출액도 2조 원에서 10조 원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인천시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도 기존 56만 리터(L)에서 100만 리터까지 확대하고 세포배양배지(세포배양 재료) 등 바이오 공정 분야 소재·부품·장비 등 원·부자재 수급망도 강화하기로 했다.
박 시장은 이에 필요한 예산 확보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제3차 추경예산에도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 지원센터 설립 등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6월28일 경기일보와 인터뷰에서 “정부 제3차 추경에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 지원센터 설립’ 등 12건, 모두 1414억 원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인천시도 인공지능(AI)과 바이오융합산업 등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성장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스타트업파크에 입주하는 스타트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의 송도 유치를 추진하고 있고 바이오벤처와 중소 연구개발기업을 위한 연구공간인 ‘K-바이오 혁신센터’도 건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송도에 세운 만큼 바이오 스타트업을 많이 유치하면 할수록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본다.
최근 인천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참여한 셀트리온이 스타트업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해 박 시장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셀트리온은 4년 동안 스타트업 파크의 민간 운영사로 참여해 스타트업의 신약 개발을 돕는다.
또 자가면역, 암, 심혈관질환, 안과질환 등 동물시험에서 효능이 검증된 업체를 선정해 이들이 임상에 진입해 개발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