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조연주 한솔케미칼 부사장 |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자는 생전에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을 두고 “쟤(이인희)가 아들이라면 내가 지금 무슨 근심이 있겠나”고 아쉬워했다고 한다.
이 고문은 삼성그룹에서 제지사업을 물려받아 한솔그룹을 키워낸 여성 오너 경영인이다.
조연주 한솔케미칼 부사장은 할머니인 이 고문의 경영 DNA를 물려받았을까?
한솔그룹의 3세이자 범삼성가 4세 경영인 조 부사장의 경영행보에 재계의 관심이 쏠린다.
◆ 컨설턴트 출신 조연주, 범삼성가 4세 경영의 닻을 올리다
조연주 부사장이 한솔케미칼 주식을 또 늘렸다. 한솔케미칼은 조 부사장이 자사주 38주를 장내에서 매입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조 부사장이 들고 있는 지분은 751주로 늘었으며 지분율은 0.01%다.
조 부사장은 조동혁 한솔그룹 명예회장의 맏딸로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장녀인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의 장손녀다.
조 부사장은 지난 3월 한솔케미칼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에 선임됐다. 범삼성가 4세 가운데 처음으로 경영에 첫발을 내디뎠다.
조 부사장은 지난해 8월 한솔케미칼 주식 108주를 처음 취득한 뒤 매달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한솔그룹 오너 3세 가운데 한솔케미칼 주식을 보유한 이는 조 부사장 밖에 없다.
재계 관계자들은 조 부사장이 꾸준히 한솔케미칼 지분을 늘리고 경영에서도 적극적 행보를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한솔그룹이 지주사 전환을 마친 뒤 한솔케미칼을 계열분리한 다음 조 부사장이 경영권을 승계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조 부사장은 조 명예회장과 이창래 서우통상 회장의 딸인 이정남씨 사이에서 2녀1남의 장녀로 태어났다.
조 부사장은 1979년 생으로 올해 37세다. 그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와튼스쿨 경영대학원(MBA)을 졸업한 뒤 보스턴컨설팅그룹 컨설턴트, 빅토리아시크릿 브랜드 매니저로 근무했다. 지난해 한솔케미칼 기획실장으로 입사해 경영수업을 시작했다.
조 부사장은 입사한지 1년여 만인 지난 3월 사내이사로 선임되면서 한솔그룹에서 4세 경영권 승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조 부사장이 와튼스쿨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데다 미국 유명 컨설팅회사에서 컨설턴트로 일한 경험이 있어 회사에서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
▲ 조동혁 한솔케미칼 명예회장 |
한솔케미칼은 국내 과산화수소 1위 업체인데 지난해 전체 매출의 43.3%가 제지와 반도체용으로 쓰이는 과산화수소에서 나왔다. 과산화수소는 반도체 세정용과 LCD 식각용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한솔케미칼은 주력사업 외에도 최근 투자와 인수합병에 적극 뛰어드는 등 사업분야를 넓히고 있다.
조 부사장은 한솔케미칼에서 기획실장을 맡은 뒤 회사의 인수합병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부사장은 한솔케미칼이 그린포인트 글로벌 미텔슈탄트 펀드 등과 미국 벤처기업인 니트라이드솔루션에 300만 달러를 투자하는 작업도 주도했다. 또 지난해 OCI 자회사인 OCI-SNF 지분 50%를 인수하는 작업에도 참여했다.
◆ 조동혁, 독자경영체제 구축해 계열분리 나설 듯
한솔케미칼의 최대주주는 조동혁 명예회장으로 14.3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한솔그룹은 한솔홀딩스와 한솔제지는 이인희 고문의 3남인 조동길 회장이, 한솔케미칼은 조 명예회장이 지배하는 모습이다.
조 부사장의 사내이사 선임은 범삼성가에서 4세 경영의 닻을 올렸다는 점뿐 아니라 한솔그룹 지배구조에도 변화를 예고한 것으로 보인다.
한솔그룹이 형제간 계열분리를 가시화하고 그에 따라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한솔케미칼은 100% 자회사인 ‘한솔씨앤피’를 이르면 연내 혹은 내년 상반기에 기업을 공개할 가능성이 높다.
한솔케미칼은 한솔씨앤피 상장으로 자금을 확보하면 계열분리 작업에서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한솔그룹은 한솔로지스틱스→한솔홀딩스→한솔라이팅→한솔EME→한솔로지스틱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구조 고리를 끊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솔그룹은 내년 말까지 계열사들 사이 지분관계를 차례로 정리하면 100% 지주회사 체제를 갖추게 된다.
이렇게 되면 조동혁 명예회장은 한솔그룹의 지주사 전환과정에서 한솔케미칼을 중심으로 독자경영체제를 구축한 뒤 향후 계열분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 1분기 깜짝 실적 낸 한솔케미칼, 성장세 이어질까
한솔케미칼은 올해 1분기 사상최대 실적을 냈다. 한솔케미칼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1%, 115% 증가한 883억 원, 119억 원을 기록했다.
한솔케미칼의 1분기 실적에서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은 영업이익률이 13.4%로 과거 4년간 평균 영업이익률 8%를 크게 웃돌았다는 점이다.
![]() |
||
▲ 이인희 한솔그룹 명예회장 |
한솔케미칼의 2분기 실적 전망도 밝은 편이다. 김동원 현대증권 연구원은 “한솔케미칼이 2분기에도 최대 실적이 기대된다”며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과 대비해 117% 증가한 141억 원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적자가 지속되던 중국법인의 흑자전환이 예상되고, 삼성전자 반도체 (D램, V낸드, 시스템LSI), LGD 및 중국 BOE, CSOT로부터 과산화수소 주문이 큰 폭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황유식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도 “전방산업인 반도체 가동률은 하반기 본격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라며 “관련 소재의 출하량도 3분기부터 집중적으로 늘어 하반기 이후 실적개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솔케미칼 주가는 5월 초 기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해 3배 넘게 뛰었다. 올해 들어서만 40% 넘게 올라 조 명예회장의 보유지분가치도 지난 1월 600억 원대 중반에서 현재 900억 원대 중반으로 치솟았다.
한솔케미칼이 향후 계열분리에 나서려면 내부거래 비중을 낮춰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한솔케미칼도 재벌그룹의 계열사간 ‘일감몰아주기’로 고속성장한 경우다. 한솔케미칼은 2010년 이후 화학업계가 세계 경기침체로 부진한 상황에서도 영업이익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한솔케미칼은 한솔제지와 한솔홈데코, 한솔아트원제지, 삼영순화 등 한솔그룹 계열사와 거래하고 있다. 2013년 기준 삼영순화와 327억 원, 한솔제지와 587억 원의 거래를 해 모두 1369억 원의 매출이 내부거래를 통해 이뤄졌다.
한솔케미칼은 내부거래를 통해 1천억 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오너 일가 지분이 30%가 안 되기 때문에 공정거래위원회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를 받지 않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