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시장과 이철우 도지사는 2일 대구시청 기자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와 2019년 안에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완료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대구가 통합신공항 이전과 관련해 국방부와 합의한 이전사업비는 8조 원에서 8조2천억 원 수준이다.
권 시장은 통합신공항 이전부지에 대구·경북과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광역교통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기존 대구국제공항과 군공항 부지는 수변도시, 스마트시티, 주요 교통망 트램(노변전차) 등을 구축해 대구만의 특색을 지닌 신도시로 개발하기로 했다.
부지 개발로 9조2천억 원의 가치가 창출되고 20∼30조 원 규모의 경제 효과가 유발돼 이전사업비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권 시장은 “이제부터는 고도 제한, 소음 피해 등에서 벗어난 도심 부지의 신도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일부 통합신공항 반대론자의 이해와 설득을 구하는 작업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그동안 진통이 컸던 만큼 좋은 성과물이 나올 것”이라며 “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인근의 개발계획을 수립해 대구·경북의 먹거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국무조정실이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대구 통합신공항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조치다.
국무조정실은 이낙연 국무총리의 지시로 3월28일 열린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주재 관계기관 회의를 통해 국방부와 대구시 사이 사업비 등 이견을 조정했다.
국방부와 대구시는 2018년 3월 경북 군위군 우보면,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등 2곳을 통합신공항 후보지로 선정했지만 이후 이전사업비를 확정하는 데 의견이 엇갈리면서 그동안 공항 이전에 진척을 이루지 못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