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김기춘 비서실장의 후임 인사를 놓고 깊은 고심에 빠져 있다.
이완구 국무총리 카드의 빛이 바래면서 비서실장 인사를 통해 인적쇄신을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이 더욱 커졌다.
![]() |
||
▲ 박근혜 대통령 |
김기춘 비서실장은 22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 수석비서관들과 작별인사를 했다.
김 실장은 국정현안을 논의한 뒤 회의가 끝날 즈음에 수석비서관들과 악수를 하며 "대통령을 잘 보필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김 실장은 지난 17일 국무회의에서 장관 등 국무위원들과 악수하며 작별인사를 했다.
김 실장은 22일 오전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아내인 박영옥 여사의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김 전 총리는 이 자리에서 김 실장이 사의를 표명한 데 대해 "(박근혜 대통령을) 가끔 찾아뵙고 외롭지 않게 해달라"며 "(대통령이란 자리가) 다 외로운 자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김 실장의 사의를 받아들였지만 아직 공식적으로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있다.
박 대통령이 23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는 점을 감안하면 24일경 후임 비서실장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이 오는 25일 취임 2주년을 맞는 만큼 비서실장 발표를 통해 인사를 마무리하고 집권 3년차의 새 출발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여권 내부에서 후임 비서실장으로 여러 명이 거명되고 있지만 모두 인적쇄신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비서실장 후보 가운데 실무형으로 권영세 전 주중대사와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거명된다. 그러나 권 전 대사의 경우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등과 관련해 부정적 여론이 만만찮고 황교안 장관은 “또 법조계 출신이냐”는 말을 들을 수 있다.
![]() |
||
▲ 김기춘 비서실장 |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이나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 노무현 정권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 교수 등의 이름도 오르내리지만 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로 볼 때 이들과 호흡을 맞춰 일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 박 대통령이 뜻밖의 인물을 비서실장으로 발탁해 인적쇄신의 효과를 극대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 대통령이 경제 살리기에 올인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해 온 만큼 참신한 경제 전문가를 선택할 공산도 크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 이름도 거명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우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