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용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추락사고를 조사할 사고조사위원회에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다.

20일 군에 따르면 해병대는 마린온 추락사고로 숨진 장병 유족들이 요구한 민간 전문가의 사고조사위원회 참여를 수용하기로 했다.
 
해병대 마린온 헬기 추락 사고조사위에 민간 전문가도 참여

▲ 18일 경북 포항시 남구 포항 비행장 활주로에 추락한 해병대용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이 산산조각이 나 있다. <연합뉴스>


현재 해병대는 해병대사령부를 중심으로 육군과 해군, 공군 항공작전사령부 등 4개 기관, 20여 명으로 사고조사위원회(위원장 조영수 전 전력기획실장 준장)를 꾸려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민간 전문가가 사고조사위원회에 참여하면 조사위원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애초 사고조사위원회에 국방기술품질원 직원 3명이 포함됐다. 하지만 마린온 개발의 기본 모델인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의 시험 평가에 참여했던 기관이 원인 규명에 참여하면 조사의 중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와 배제됐다. 

유족들은 사고가 일어난 뒤 정확한 사고원인 등을 밝힐 수 있도록 중립적 사고조사위원회 구성과 사고현장 언론 공개, 유족 기자회견, 사고 관련 자료 공개 등을 해병대에 요구했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20일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군사법원 업무보고에 출석해 “다시 한 번 마린온 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며 “철두철미하게 정비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말씀을 국민 여러분께 드린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