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권에 따르면 흥국화재는 1분기에 순손실을 본 데 이어 2분기에도 순이익이 2017년 같은 기간보다 56.5%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실손의료보험으로 실적 개선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흥국화재는 실손의료보험 비중이 업계서 가장 높다.
흥국화재의 위험보험료 가운데 실손의료보험 비중은 47%로 집계됐다. 롯데손해보험이 37.9%로 그 뒤를 이었고 DB손해보험이 37%, 한화손해보험이 33.4%, 삼성화재 32.3% 등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의 영향으로 최근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율이 개선 추세에 있는 만큼 그동안 실손의료보험 상품을 많이 팔아온 흥국화재가 앞으로 더욱 손해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손해율은 발생한 손해액을 보험료로 나눈 수치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그동안 건강보험이 보장하지 않던 비급여항목을 급여화하는 정책을 지난해 8월에 발표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시행해 나가고 있다. 민영 보험사의 실손의료보험이 보장해야 하는 항목이 줄어들어 손해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성용훈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흥국화재는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낮아짐에 따라 전체 장기보험 손해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업계 가운데 가장 클 것”이라며 “앞으로 실손의료보험 손해율 개선 추세도 가파를 것이며 그에 따른 이익 증가율도 가장 눈에 띌 것”이라고 바라봤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은 121.7%로 집계됐다. 2016년(131.3%)보다 9.6%포인트 낮아졌다. 금감원은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라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더욱 개선될 것인 만큼 손보사들에게 보험료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갱신형 상품도 효자노릇을 할 것으로 보인다.
흥국화재가 팔았던 ‘갱신주기 5년짜리 실손의료보험 상품’들의 갱신주기가 두 번째로 돌아오는 점도 하반기 실적 반등의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갱신형 상품은 계약 때 정한 갱신일이 다가왔을 때 보험사의 손해율과 비례해 보험료가 변동되는 상품을 말한다. 즉 같은 보험계약 상품에서 보험료 수익이 늘어날 기회가 온 것이다.
정부는 2009년에 보험사마다 제각기 다르게 적용됐던 약관을 표준화하면서 실손의료보험의 갱신주기를 3년으로 통일했다.
흥국화재를 비롯한 중소형 손보사들은 약관 표준화가 시행되기 전인 2018년 2분기부터 2019년 1분기까지 갱신주기 5년짜리 실손의료보험 상품을 다른 회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팔았다.
성 연구원은 “갱신주기 5년짜리 상품의 갱신일이 다가오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부터 흥국화재를 포함한 중소형 손보사들의 이익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될 것”이라며 “흥국화재와 롯데손해보험 등이 2018년 이익 목표를 3분기~4분기에 집중해 놓은 이유”라고 말했다.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6월 “흥국화재가 2018년 갱신주기가 도래하는 실손의료보험 건수가 매우 높은 만큼 실손의료보험료 인상에 따라 수익성이 좋아질 것으로 전망한다”며 흥국화재에 첫 보험금지급능력 신용등급으로 ‘Baa1’을 부여했다. 21개 평가등급 가운데 8번째 등급이다.
흥국화재는 4월 실손보험료를 0.7% 인하하면서 실손의료보험부문에서 자신감을 내보이기도 했다. 손해사정 업무 등에 들어가는 사업비가 절감됨에 따라 보험료를 소폭 내렸다고 설명했다.
흥국화재를 기점으로 다른 손해보험사들도 잇따라 보험료를 내릴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지만 아직까지 아무도 실손보험료를 내리고 있지 않다.
하지만 갱신주기 때 흥국화재에 고객 이탈이 발생하지는 않을지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말도 나온다.
보험가입자가 보험상품에 불만을 지니고 있었다면 보험료 인상을 앞두고 보험계약을 해지하는 일이 나타난다. 보험계약을 해지한 고객이 흥국화재의 다른 실손의료보험 상품에 가입을 하게 된다면 다행이지만 다른 손보사를 찾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보험설계사는 “10명 가운데 2명 정도가 갱신주기를 앞두고 보험계약을 해지하곤 한다”며 “중소형 보험사들이 규모를 키우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보험료로 고객들을 끌어모았지만 이 유인이 사라지면 보험 계약을 해지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