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본부장은 1980년대 미국과 일본의 통상분쟁으로 일본의 자동차와 반도체가 주춤했던 틈새를 타고 우리의 자동차, 반도체가 수출 주력 산업으로 성장했던 점을 들었다.
그는 “통상환경의 흐름을 냉정하게 읽고 과감한 도전으로 4차산업혁명시대에 열릴 기회를 우리 것으로 만들어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새로운 통상전략으로 수출 상품 개발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제시했다.
통상 마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새로운 수출 상품과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혁신형 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통상팀이 뒷받침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자원은 중동, 핵심기술은 일본에 의존하면서 중국과 미국시장에 기대온 수출구조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를 바꿔야 한다고 봤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글로벌 생산과 소비의 중심이 되고 있는 아세안, 인도, 메르코수르(남미공동시장) 등 신흥국으로 수출을 확대하기로 했다.
김 본부장은 “현재 세계시장의 77% 수준의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를 수년 안에 90%로 확장할 계획”이라며 “아세안과 인도를 주변4강 수준의 파트너로 격상해 교역액을 인도 500억 달러, 아세안 2천억 달러까지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미국의 자동차분야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와 미중 무역갈등의 심화가 세계통상질서를 바꾸고 있다고 봤다.
그는 미국의 이런 움직임을 놓고 “8천억 달러에 이르는 무역적자를 해소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하며 “분쟁의 장기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본부장은 “우리는 한미 FTA 개정협상과 철강 232조 타결로 미국의 관세 보복에서 한발 빗겨나 있다”면서도 “글로벌 자유무역 퇴조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개방형 국가들에 구조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그는 “미국의 자동차 232조 조사와 미중 무역분쟁을 놓고 냉정하게 전개상황과 영향을 판단하면서 철저히 실리에 바탕을 두고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미국 의사결정 관련 핵심인사를 만나 한국에 232조 조치가 적용되지 않도록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