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이 ‘유령 주식’ 사고로 중징계를 받으면서 영업력은 물론 삼성그룹에서 차지하는 입지도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증권은 삼성그룹에서 비주력 계열사로 분류됐는데 이번에 궁지에 몰리면서 매각설이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도 있다.
◆ 삼성증권, 금감원 징계 확정되면 영업력과 브랜드 가치 하락 불가피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이 삼성증권에 내린 징계조치가 최종 확정되면 삼성증권은 신규 증권계좌를 모집할 수 없는 데다 발행어음업 인가도 앞으로 2년 동안을 받기 어려워진다.
▲ 사진은 서울 영등포구 삼성증권 여의도 지점 전경.<뉴시스> |
금감원은 삼성증권에 6개월 위탁매매 영업정지 및 과태료 부과 처분을 내렸고
구성훈 삼성증권 대표이사 사장에게 직무정지 3개월,
윤용암·김석 전 사장에게는 해임권고를 각각 의결했다.
이 징계는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와 정례회의를 거쳐 최종확정된다.
징계가 이대로 확정되면 삼성증권은 기존 고객들의 주식 중개매매와 펀드·파생상품 판매 등은 그대로 다룰 수 있지만 신규 고객 모집에 불이익이 생기는 데다 다른 대형 증권사와 경쟁구도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
자본시장법과 금융회사지배구조법 등에 따르면 일부 영업정지의 경우 2년간 금융회사의 신규사업 인가가 금지된다. KB증권도 2016년 현대증권 시절에 받은 일부 영업정지 때문에 아직 발행어음업 인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남석 KB증권 연구원은 “신규사업 진출 제한에 따른 발행어음 사업 인가 지연과 브랜드가치의 손상은 삼성증권 기업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삼성증권은 ‘유령 주식 사고’ 이후 기존에 관계를 맺고 있던 기관들과 거래가 끊어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이번 금감원 징계가 확정되면 부담이 더욱 커진다.
한국은행은 삼성증권과 외화채권 매매거래를 중단했고 국민연금과 사학연금공단 등 연기금도 ‘거래 안정성’을 이유로 삼성증권과 거래를 잇달아 중단했다.
◆ 잠잠하던 삼성증권 ‘매각설’ 다시 불거지나
삼성증권은 그동안 삼성 금융계열사 가운데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생명이나 삼성화재 등과 비교해 존재감이 크게 낮아 매각설에 시달려 왔다.
삼성증권은 2017년 말 기준으로 미래에셋대우와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등과 4조 원대 대형 증권사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지만 순이익 기준으로는 메리츠종금증권과 키움증권 등 중소형 증권사과 비슷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증권업은 모험자본을 활용한 과감한 투자가 요구되지만 삼성증권은 삼성그룹 특유의 리스크 관리 중심의 보수적 성향을 지니고 있어 ‘덩칫값’을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그동안 외형 확장보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비주력사업을 정리해왔던 만큼 삼성증권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을 향한 정부의 압박이 거센 상황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과 삼성증권 유령 주식 배당사고 등이 잇달아 불거지면서 삼성그룹을 바라보는 여론의 시선이 곱지 않아졌다는 점도 매각설에 힘을 실어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 부회장이 그룹의 주요 신사업으로 점찍은 바이오사업의 핵심 계열사이지만 회계 처리 위반 여부를 놓고 금감원과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삼성증권은 수익성도 뛰어나지 않은 데다 그룹 신뢰도를 끌어내리는 사고까지 낸 만큼 삼성그룹에서 입지는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금감원 징계로 다른 증권사와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룹 차원의 지원도 사실상 기대할 수 없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게다가 삼성증권은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과 달리 그룹 지배구조에서 한발 떨어져 있기도 하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삼성증권을 들고 있을 때의 ‘득실’을 따져볼 때 ‘실’이 더 많아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매각설에 더욱 힘이 실릴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