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합회를 주축으로 중소기업 관련 사회공헌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정부 정책에 발맞추고 중소기업 고객과 관계 유지도 꾀하는 것으로 보인다.
▲ (왼쪽부터) 우리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전경. <뉴시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은행 공동으로 추진할 사회공헌사업을 계획하고 여기 쓰일 자금 5천억 원가량을 모으고 있다. 은행들이 순이익에 따라 자금을 분담해서 납부하기로 했다.
이번에 조성된 금액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펀드에 3200억 원, 일자리 기업 협약보증에 1천억 원, 성장사다리펀드에 1천억 원, 은행권 청년창업재단 지원에 500억 원을 쓰기로 했다.
일자리 창출 펀드 3200억 원은 민간자금까지 더해지면 모두 1조5천억 원의 기금이 모일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사회공헌사업은 주로 중소기업 지원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성장사다리펀드는 정부 주도로 2013년부터 조성된 벤처·중소기업 지원 펀드로 은행연합회가 추가적으로 펀드에 자금을 더 붓기로 한 것이다.
시중은행들은 공동사업뿐 아니라 개별 사회공헌사업에서도 벤처·중소기업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중소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환리스크관리, 세무관리, 관세 환급 등 실무적 조언을 제공하고 기술보증기금, 산업진흥원, 신용보증기금 등과 협력해 중소기업에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2017년 9월부터 중소기업에 컨설팅을 지원해왔고 신한은행은 한국거래소와 협력해 중소벤처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플랫폼을 만들었다.
KEB하나은행은 특별 센터를 만들고 국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직간접적 지원을 하고 있다. 5월19일 스타트업 13곳을 모아 6기를 출범했다.
반면 외국계은행은 상대적으로 국내 사회공헌사업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회공헌사업에 난색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씨티은행 본사에서 사회공헌사업은 개별기업이 알아서 할 일이고 한국 은행연합회가 의무적 출자를 강요하는 것은 국제적 기준에 어긋난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박진회 한국씨티은행장이 은행연합회 관계자들을 만나 최대한 부담을 덜기 위해 노력했다는 말도 나왔다.
은행연합회가 발간한 ‘은행 사회공헌사업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순이익과 비교해 사회공헌사업에 쓴 돈은 한국씨티은행이 1.1%로 나타났다. 다른 외국계은행인 SC제일은행이 1.7%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