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사 사장들의 혁신과 변화는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 대응한 신사업 발굴과 사업 포트폴리오 변경에 방점이 찍혔다.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탈석탄과 동시에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높이는 ‘재생에너지3020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각 발전사는 2030년까지 모두 40조 원가량을 투자해 현재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는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로 끌어올릴 계획을 세웠다.
발전사 사장들은 모두 탈석탄 정책에 따른 매출 감소에 대비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의 기반을 잡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발전사 사장들은 여기에 더해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과정에서 차별성을 확보해야 한다.
김병숙 서부발전 사장은 7일 취임사에서 “신속하고 효율적 경영혁신으로 ‘차별화된 발전회사’로 성장하는 것을 경영의 기본방침으로 삼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5개 석탄발전 공기업은 경쟁에 따른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2001년 한국전력에서 분리돼 설립됐는데 경쟁효과가 크지 않은 만큼 이들 기관을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7년 국감에서 “석탄발전사는 경쟁을 통한 효율화를 목적으로 분할됐지만 발전사의 발전원별 차이가 적어 사실상 경쟁효과가 적다”며 “전력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5개 발전사를 통합해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발전사들이 유사한 연구용역을 발주해 중복비용이 발생하고 한 발전사가 앞선 기술을 도입하더라도 기술의 전파 속도가 더뎌 비효율성이 발생한다는 점도 통합의 근거로 나왔다.
미세먼지 등으로 문재인 정부가 탈석탄정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발전사 사장들이 차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통합을 요구하는 측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는 셈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의 통합을 시작으로 공기업의 구조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는 점도 각 발전사 사장들에게 부담일 수 있다.
▲ 김병숙 한국서부발전 사장(왼쪽)과 신정식 한국남부발전 사장.
발전사 사장들은 각 발전사에 특화한 재생에너지를 육성하는 방향으로 차별성을 확보하는 데 힘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발전공기업의 역할과 관련한 국회 토론회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의 우수사례로 중부발전은 신재생단지와 인근관광지를 연계한 지역관광상품 개발사업, 서부발전은 높은 염도로 벼농사가 힘든 태안 이원간척지에 신재생에너지파크를 조성한 일을 소개하는 등 발전사들은 차별성을 보였다.
발전사 사장들이 취임사에서 혁신과 함께 사회적 가치를 강조한 만큼 공공성 측면에서 존재감을 부각할 수도 있다.
발전사들은 모두 다른 지역에 본사가 흩어져 있어 지역인재 채용을 확대하는 방식 등으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육성을 추진하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에 부응할 수 있다.
5개 발전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최근 발표한 ‘2017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에서 모두 우수등급을 받으며 사회적 가치부문에서 경쟁력을 보이기도 했다. 평가대상이었던 29개 공기업 가운데 우수등급을 받은 기관은 5개 발전사가 유일하다.
신정식 남부발전 사장과 김병숙 서부발전 사장은 8일, 유향열 남동발전 사장과 박일준 동서발전 사장, 박형구 중부발전 사장은 2월13일 각각 취임식을 열고 3년 임기를 시작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17년 7월 취임 이후 처음으로 5개 발전공기업 사장 공백상황을 마무리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