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사절단은 정 실장을 비롯해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가정보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5명으로 구성됐다. 여기에 실무진 5명을 더해 모두 10명이 북한을 방문한다.
특별사절단은 5일 오후 특별기를 타고 서해 직항로를 통해 북한에 도착한 뒤 1박2일 동안 평양에 머물며 북측 고위급 관계자들과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대화를 나눈다.
윤 수석은 “특별사절단 방북은 평창올림픽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파견한 김여정 특사 방남에 대한 답방의 의미가 있다”며 “특별사절단은 특히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 여건 조성, 남북 교류 활성화 등 남북관계 개선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6일 오후 돌아오는 특별사절단은 귀국보고를 마친 뒤 미국을 방문해 미측에 방북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라며 “중국, 일본과도 긴밀히 협의를 이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의용 실장은 대표적 '미국통'으로 정 실장이 대북 특별사절단의 수석을 맡은 데는 북미 대화의 중재자 역할을 바라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서훈 국정원장은 2000년과 2007년 남북 정상회담을 모두 담당한 '대북통'으로 정 실장과 함께 북미 대화 전반을 논의하는 동시에 남북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서 원장은 1일 문 대통령이 대북특사 파견을 공식화한 뒤 유력 특사 후보로 꼽혀왔다.
청와대는 이번 대표단의 방북과 관련해 남북관계기본법 제15조에 따라 ‘대북특사’가 아닌 ‘대북특별사절단’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의용 실장의 공식직함은 대북특사가 아닌 ‘대북 특별사절단 수석’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