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해부터 메모리반도체인 D램에 대규모 생산투자를 벌이며 전 세계 시장점유율을 더욱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마이크론과 중국 반도체기업 등 경쟁사들이 D램시장 확대에 공격적으로 나서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양강체제가 갈수록 강력해질 공산이 크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글로벌 D램시장 지배력 더 강력해져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사장(왼쪽)과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


12일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 홈페이지 분석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해부터 내년까지 D램 증설 투자규모를 대폭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웨이퍼(반도체 원판) 공급 부족현상이 이어져 반도체기업들이 대규모 증설에 나서도 출하량을 늘리기 어려웠지만 최근 웨이퍼 공급량이 늘어나며 상황이 바뀌고 있는 영향으로 분석됐다.

IC인사이츠는 “메모리반도체 기업들의 증설투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활발하게 벌어질 것”이라며 “반도체시장 진출을 노리는 중국 기업들의 막대한 투자도 계획됐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D램 경쟁업체인 마이크론의 시설 투자는 주로 낸드플래시 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됐다.

마이크론이 주력으로 삼을 64단 3D낸드 공정기술력을 최근에서야 확보한 만큼 단기간에 출하량을 늘려 시장 경쟁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마이크론은 D램 출하량을 늘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점유율 경쟁을 벌이기보다 자동차용 D램 등 수익성이 높은 차세대 메모리에 집중해 수익성을 지켜내는 전략을 앞세우고 있다.

시장분석지 마켓리얼리스트는 “마이크론은 최근 컨퍼런스콜을 통해 SSD 등 낸드플래시 제품 출하량을 공격적으로 늘리는 계획을 내놓았다”며 “반면 D램에서는 그래픽D램과 자동차용 D램 등 차세대 제품에 집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이크론이 현실적으로 낸드플래시와 D램에 모두 투자를 벌일 여력이 부족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쓰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마켓리얼리스트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지난해 반도체 시설 투자에 약 5조 원을 들였고 올해는 8조 원 정도를 계획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와 올해 각각 20조 원대, SK하이닉스가 10조 원대의 시설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투자규모가 크지 않은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공격적으로 D램 증설 투자를 벌인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마이크론과 시장점유율 격차가 갈수록 크게 벌어질 수 있다.

지난해 전 세계 D램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약 45%, SK하이닉스는 28%의 점유율을 차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글로벌시장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양강체제에 가깝게 재편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글로벌 D램시장 지배력 더 강력해져

▲ SK하이닉스의 중국 D램 생산공장.


중국 정부에서 막대한 자금을 지원받는 현지 반도체기업들이 이르면 연말부터 D램 대량양산에 나설 계획을 세운 점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장지배력 유지에 가장 변수로 꼽힌다.

하지만 마켓리얼리스트는 최근 마이크론이 중국업체들을 상대로 D램 기술특허 침해를 주장하며 강력한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어 중국의 반도체사업 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마이크론은 중국 최대 D램업체인 UMC가 연구인력을 빼앗아가며 기술특허를 침해했다고 미국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트럼프 정부도 이런 문제에 강경하게 대응한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에 활용할 것으로 예상됐던 평택 반도체공장의 새 생산라인에 D램 장비를 도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중국 D램 공장에 투자를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IC인사이츠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D램 증설 효과는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며 “중국 반도체기업들의 투자규모를 앞설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