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계열사 호조에 힘입어 지난해 실적이 늘어났다.
그러나 중공업부문 자체실적은 신고리원전 5, 6호기 공사중단 등의 여파로 감소했다.
두산중공업은 2017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4조5236억 원, 영업이익 9257억 원을 냈다고 8일 밝혔다. 2016년보다 매출은 4.1%, 영업이익은 16% 증가했다.
지난해 순손실 1097억 원으로 2016년보다 적자폭이 줄었다.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280.2%인데 2016년 말보다 16.2% 나빠졌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가 2017년에 실적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두산중공업 연결기준 실적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에서 건설기계판매를 늘린 데 힘입어 영업이익 6608억 원을 냈는데 2016년보다 34.6% 늘어났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중공업부문에서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 타격을 받았다.
지난해 중공업부문에서 매출 5조7442억 원, 영업이익 1903억 원을 냈다. 2016년보다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33.8% 줄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정부가 에너지 전환정책을 펴면서 신고리원전 5, 6호기 등 일부 공사가 일시중단돼 중공업부문 영업이익이 줄었다”며 “정부정책으로 일부 발전사업이 취소되거나 연기돼 2017년 신규수주도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공업부문에서 신규수주 5조510억 원을 확보했는데 2016년보다 44.2% 줄었다. 지난해 수주잔고는 18조7798억 원으로 2016년보다 3.5% 감소했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중공업부문 실적이 개선되고 계열사도 호조를 이어가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바라봤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5조8336억 원, 영업이익 1조944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보다 매출은 9%, 영업이익은 18.2% 늘어나는 것이다.
두산중공업은 8일 이사회를 열고 2017년도 결산배당으로 우선주 1주 당 1356원을 현금으로 지급하기로 의결했다. 배당금 총액은 174억9810만8760원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그러나 중공업부문 자체실적은 신고리원전 5, 6호기 공사중단 등의 여파로 감소했다.

▲ 정지택 두산중공업 대표이사 부회장.
두산중공업은 2017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4조5236억 원, 영업이익 9257억 원을 냈다고 8일 밝혔다. 2016년보다 매출은 4.1%, 영업이익은 16% 증가했다.
지난해 순손실 1097억 원으로 2016년보다 적자폭이 줄었다.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280.2%인데 2016년 말보다 16.2% 나빠졌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가 2017년에 실적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두산중공업 연결기준 실적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에서 건설기계판매를 늘린 데 힘입어 영업이익 6608억 원을 냈는데 2016년보다 34.6% 늘어났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중공업부문에서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 타격을 받았다.
지난해 중공업부문에서 매출 5조7442억 원, 영업이익 1903억 원을 냈다. 2016년보다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33.8% 줄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정부가 에너지 전환정책을 펴면서 신고리원전 5, 6호기 등 일부 공사가 일시중단돼 중공업부문 영업이익이 줄었다”며 “정부정책으로 일부 발전사업이 취소되거나 연기돼 2017년 신규수주도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공업부문에서 신규수주 5조510억 원을 확보했는데 2016년보다 44.2% 줄었다. 지난해 수주잔고는 18조7798억 원으로 2016년보다 3.5% 감소했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중공업부문 실적이 개선되고 계열사도 호조를 이어가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바라봤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5조8336억 원, 영업이익 1조944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보다 매출은 9%, 영업이익은 18.2% 늘어나는 것이다.
두산중공업은 8일 이사회를 열고 2017년도 결산배당으로 우선주 1주 당 1356원을 현금으로 지급하기로 의결했다. 배당금 총액은 174억9810만8760원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