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중국의 알리바바가 미국증시에 상장한 뒤 기대 이상의 첫 성적표를 내놨다.
알리바바의 기업공개에 힘입어 알리바바의 최대주주인 소프트뱅크도 깜짝 실적을 냈다.
하지만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인수한 미국 이동통신사 스프린트의 부진으로 9년 만에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알리바바 기대 이상의 성적표
알리바바가 2014년 회계연도 2분기(7~9월)에 매출 27억4천만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증가했다고 4일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영업이익은 17.2% 늘어난 7억1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 |
||
▲ 마윈 알리바바 회장 |
사용자가 늘어나고 모바일 구매가 증가하면서 매출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타임스는 분석했다.
알리바바의 실사용자는 직전분기 2억799만 명에서 3억700만 명으로 증가했다.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타오바오와 티몰은 지난 2분기 총 거래액이 905억 달러로 1년 새 49% 늘었다.
모바일 구매도 크게 늘었다. 알리바바는 중국 온라인 소매시장 매출의 29%가 모바일에서 나온다고 밝혔다.
조셉 차이 알리바바 부회장은 “우리는 모바일에서 상당한 매출을 거뒀고 이를 명확하게 공개하는 몇 안 되는 중국회사 중 하나”라고 말했다.
◆ 알리바바에 웃고 스프린트에 운 소프트뱅크
일본 소프트뱅크도 알리바바 덕을 크게 봤다.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인수한 미국 이동통신사 스프린트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알리바바의 기업공개에 힘입어 분기이익이 거의 세 배로 뛰었다.
![]() |
||
▲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
소프트뱅크가 알리바바의 뉴욕증시 상장으로 5631억 엔의 이익을 거뒀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소프트뱅크는 알리바바의 지분 34.4%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그러나 소프트뱅크는 이날 2014 회계연도(2014년 4월~2015년 3월) 순이익을 9천억 엔으로 당초 계획보다 10%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220억 달러에 인수한 스프린트가 인원감축과 요금제 변경 등의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실적을 냈기 때문이다. 또 구조조정 과정에서 스프린트 전체 인력의 5%인 2천 명을 정리해고하는 과정에서 1억5천만 달러의 비용이 들었다.
스프린트는 지난 2분기(7~9월) 순손실이 7억6500만 달러를 기록해 적자폭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 확대됐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은 스프린트 투자에 대해 “전환점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