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인적분할을 비롯한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이 대선 이후로 늦춰질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1일 “경제민주화법안 논의가 본격화되겠지만 삼성전자 조기 인적분할을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파악했다.
![]()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박영수 특검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박근혜 대통령의 독대 이후 삼성그룹이 최순실씨 모녀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대신 삼성물산 합병건에 국민연금의 찬성을 이끌어 낸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윤 연구원은 “정치적으로 삼성그룹의 오너일가 및 최고경영진이 수세에 몰린 상황”이라며 “경영권 승계를 놓고 정치권과 여론의 지원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새로 발의된 공정거래법 개정안도 걸림돌이다.
인적분할 시 자사주 의결권을 제한하는 법안은 이전에도 나왔으나 추가 발의된 개정안은 법이 시행될 경우 이미 인적분할을 마친 기업에도 적용하도록 했다. 인적분할로 의결권이 살아난 지분 보유는 허용하되 의결권을 제한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윤 연구원은 “개정안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국한돼 적용되지만 선제적인 인적분할 의미가 퇴색한다”며 “이 개정안이 통과되면 인적분할을 활용한 삼성전자의 지배구조개편이 봉쇄될 수 있어 난처한 상황”이라고 파악했다.
윤 연구원은 “인적분할 시 신주배정을 금지하는 상법 개정안 통과 전에 삼성전자가 인적분할을 포함한 경영권 승계작업을 진행할 경우 야당이 공정거래법 개정안을 의욕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경영권 승계를 포함해 삼성그룹의 지배구조개편이 대선 이후에 이뤄질 것으로 윤 연구원은 내다봤다. 새 정부가 들어서 경제에 미칠 삼성그룹의 영향력을 고려하게 될 가능성을 살펴보면서 지배구조개편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윤 연구원은 “여야를 막론하고 새 대통령의 우선순위는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이 될 것”이라며 “새 정부는 고용과 투자 등에서 대기업과 눈높이를 맞출 것이고 이런 점에서 삼성그룹도 예외가 아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