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장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믿:음’ 기술 고도화에 힘을 싣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소버린 AI’(AI 주권) 정책을 통해 국내 AI 기술 자립을 강조하면서, 기존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에 방점을 뒀던 김 사장이 AI 전략을 수정해 자체 기술력 확보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전략을 선회한 것이다.
다만 김 사장은 아직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AI 거대언어모델(LLM)로 기술 경쟁을 벌이기에는 격차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AI 전략적 협력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3일 정보통신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KT는 믿:음을 고도화한 AI 모델 2.0 버전의 3종을 차례로 시장에 공개한다.
믿:음은 KT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로, 2023년 1.0 버전을 출시했다. KT는 이날 믿:음 2.0 버전의 오픈소스를 AI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신동훈 KT 기술혁신부문장은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기술 설명회에서 "범용 서비스에 적합한 모델인 ‘믿:음 2.0 베이스’와 소형 모델인 ‘믿:음 2.0 미니’를 우선 선보인 뒤, 고성능 모델인 ‘믿:음 2.0 프로’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첫 번째 모델 출시 이후 2년 만에 성능을 고도화한 ‘믿:음 2.0’을 내놓은 KT의 행보를 두고, 새 정부의 AI 정책 방향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KT는 당초 MS 등 미국 빅테크와 AI 협업에 무게를 두는 전략을 취했다.
김 사장은 지난해 MS와 협업을 통해 5년간 2조4천억 원을 투자하고, 오픈AI의 GPT-4o를 기반으로 한국어 특화 AI 모델과 서비스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KT가 자체 AI 모델 개발보다 글로벌 빅테크의 기술력을 활용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해석이 나왔다.
김 사장도 지난해 10월 열린 AICT(AI+정보통신기술) 사업전략 간담회에서 “이미 수백조 원을 투입한 구글, 아마존웹서비스 등 빅테크를 제칠 수는 없다”며 “KT는 한국 산업계가 취해온 '패스트 팔로어' 전략처럼 양질의 시스템을 빠르게 도입해 AI 서비스를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대통령실 미래기획AI수석에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이 각각 임명되고, 새 정부가 'AI 100조 투자' 등 AI 산업 활성화 정책의 뼈대를 'AI 소버린'으로 삼으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배 장관 후보자와 하 수석 모두 AI 자체 개발 역량을 중시하는 이른바 ‘AI 주권파’ 인사들로 평가받는다.
이들이 국내 AI 정책의 주도권을 잡게 되자 자칫 글로벌 협업 중심 전략이 정부의 국산 AI 육성 기조와 어긋날 경우, 국내 시장에서 KT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에 김 사장도 기존 KT의 AI 사업 전략에 변화를 줄 수밖에 없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신 부문장은 이날 기술 설명회에서 “믿:음 모델 개발을 중단한 것이 아니냐는 시선이 있었으나, 개발을 중단한 적은 없었다”며 “한 단계 개선된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해왔다”고 말했다.
특히 신 부문장은 믿:음이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한 AI 모델로, 정부가 강조하는 ‘소버린 AI’에 가장 부합하는 모델이 될 수 있다며 자체 기술 개발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는 “믿:음은 한국의 B2B(기업 간 거래)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모델을 설계했다”며 “다른 AI모델들은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믿:음이 △데이터 주권 보장 △사용자 환경에 맞는 선택권 부여 △한국적 문화와 가치관 내재 △국내 규제 체계에 대한 대응 등 ‘소버린 AI’의 4대 철학에 기반해 데이터 구축과 학습을 전부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사장은 믿:음의 고도화와 동시에 MS와의 협업도 유지한다.
아직 빅테크와의 기술력 격차가 존재하고, 기업과 개인의 AI 수요도 다르다는 점에서 GPT 기반 AI 모델과 믿:음 AI 모델을 병행해 수요에 맞는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김 사장은 MS와 협력한 AI 모델을 조만간 공개하고, 믿:음을 기반으로 정부에서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참여한다.
신 부문장은 이날 “한 번도 자체 기술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며 “정책 기조에 맞게 믿:음 2.0을 기반으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이재명 정부가 ‘소버린 AI’(AI 주권) 정책을 통해 국내 AI 기술 자립을 강조하면서, 기존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에 방점을 뒀던 김 사장이 AI 전략을 수정해 자체 기술력 확보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전략을 선회한 것이다.

▲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장(사진)이 자체 개발한 AI 모델 '믿:음'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과의 AI 사업 협력도 추진하는 투트랙 AI 사업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 KT >
다만 김 사장은 아직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AI 거대언어모델(LLM)로 기술 경쟁을 벌이기에는 격차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AI 전략적 협력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3일 정보통신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KT는 믿:음을 고도화한 AI 모델 2.0 버전의 3종을 차례로 시장에 공개한다.
믿:음은 KT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로, 2023년 1.0 버전을 출시했다. KT는 이날 믿:음 2.0 버전의 오픈소스를 AI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신동훈 KT 기술혁신부문장은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기술 설명회에서 "범용 서비스에 적합한 모델인 ‘믿:음 2.0 베이스’와 소형 모델인 ‘믿:음 2.0 미니’를 우선 선보인 뒤, 고성능 모델인 ‘믿:음 2.0 프로’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첫 번째 모델 출시 이후 2년 만에 성능을 고도화한 ‘믿:음 2.0’을 내놓은 KT의 행보를 두고, 새 정부의 AI 정책 방향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KT는 당초 MS 등 미국 빅테크와 AI 협업에 무게를 두는 전략을 취했다.
김 사장은 지난해 MS와 협업을 통해 5년간 2조4천억 원을 투자하고, 오픈AI의 GPT-4o를 기반으로 한국어 특화 AI 모델과 서비스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KT가 자체 AI 모델 개발보다 글로벌 빅테크의 기술력을 활용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해석이 나왔다.
김 사장도 지난해 10월 열린 AICT(AI+정보통신기술) 사업전략 간담회에서 “이미 수백조 원을 투입한 구글, 아마존웹서비스 등 빅테크를 제칠 수는 없다”며 “KT는 한국 산업계가 취해온 '패스트 팔로어' 전략처럼 양질의 시스템을 빠르게 도입해 AI 서비스를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대통령실 미래기획AI수석에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이 각각 임명되고, 새 정부가 'AI 100조 투자' 등 AI 산업 활성화 정책의 뼈대를 'AI 소버린'으로 삼으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배 장관 후보자와 하 수석 모두 AI 자체 개발 역량을 중시하는 이른바 ‘AI 주권파’ 인사들로 평가받는다.
이들이 국내 AI 정책의 주도권을 잡게 되자 자칫 글로벌 협업 중심 전략이 정부의 국산 AI 육성 기조와 어긋날 경우, 국내 시장에서 KT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에 김 사장도 기존 KT의 AI 사업 전략에 변화를 줄 수밖에 없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신 부문장은 이날 기술 설명회에서 “믿:음 모델 개발을 중단한 것이 아니냐는 시선이 있었으나, 개발을 중단한 적은 없었다”며 “한 단계 개선된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해왔다”고 말했다.
특히 신 부문장은 믿:음이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한 AI 모델로, 정부가 강조하는 ‘소버린 AI’에 가장 부합하는 모델이 될 수 있다며 자체 기술 개발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는 “믿:음은 한국의 B2B(기업 간 거래)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모델을 설계했다”며 “다른 AI모델들은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믿:음이 △데이터 주권 보장 △사용자 환경에 맞는 선택권 부여 △한국적 문화와 가치관 내재 △국내 규제 체계에 대한 대응 등 ‘소버린 AI’의 4대 철학에 기반해 데이터 구축과 학습을 전부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KT는 자체 개발 AI 모델 '믿:음'을 토대로 정부에서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 KT >
다만 김 사장은 믿:음의 고도화와 동시에 MS와의 협업도 유지한다.
아직 빅테크와의 기술력 격차가 존재하고, 기업과 개인의 AI 수요도 다르다는 점에서 GPT 기반 AI 모델과 믿:음 AI 모델을 병행해 수요에 맞는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김 사장은 MS와 협력한 AI 모델을 조만간 공개하고, 믿:음을 기반으로 정부에서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참여한다.
신 부문장은 이날 “한 번도 자체 기술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며 “정책 기조에 맞게 믿:음 2.0을 기반으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