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유럽 최대 냉난방공조 업체 ‘플랙트그룹’를 15억 유로(약 2조3700억 원)에 인수하며 냉난방공조(HVAC)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삼성전자는 14일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이 보유한 플랙트의 지분 100%를 15억 유로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918년 설립된 독일 플랙트는 10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을 가진 공조기기 업체다. 유럽의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도 활용 가능한 공조 기술을 지녔다고 평가된다.
프랙트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떠오르고 있는 데이터센터, 박물관이나 도서관, 공항과 터미널 시설,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공조 설비를 공급해왔다.
삼성전자 측은 “플랙트그룹은 글로벌 대형 공조 시장에서 뛰어난 제품 성능과 안정성, 신뢰도 있는 서비스 지원 등으로, 높은 고객 만족도를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플랙트의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저탄소·친환경 목표 달성이 중요한 빅테크 기업들에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냉각액을 순환시켜 서버를 냉각하는 액체 냉각 방식인 ‘CDU’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고객사군도 다양하다. 데이터센터 외에도 제약사, 헬스케어, 식음료, 플랜트 등 60개 이상의 대형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본격적으로 냉난방공조 사업에 뛰어든다. 공조사업은 가정부터 상업, 산업 시설에 최적의 공기와 온습도를 제공해 미래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대형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중앙공조 시장은 지난해 610억 달러(약 86조4천억 원)에서 2030년 990억 달러(약 140조3천억 원)으로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 달러(약 62조5천억 원) 규모로, 연평균 1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앞서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AI(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메드텍(소니오), 오디오·전장(룬,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등 미래 성장 산업 관련 기업을 연달아 인수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업체 플랙트를 인수하며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호현 기자
삼성전자는 14일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이 보유한 플랙트의 지분 100%를 15억 유로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삼성전자가 독일 냉난방공조 기업 '플랙트그룹'을 2조3천억 원 규모에 인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연합뉴스>
1918년 설립된 독일 플랙트는 10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을 가진 공조기기 업체다. 유럽의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도 활용 가능한 공조 기술을 지녔다고 평가된다.
프랙트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떠오르고 있는 데이터센터, 박물관이나 도서관, 공항과 터미널 시설,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공조 설비를 공급해왔다.
삼성전자 측은 “플랙트그룹은 글로벌 대형 공조 시장에서 뛰어난 제품 성능과 안정성, 신뢰도 있는 서비스 지원 등으로, 높은 고객 만족도를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플랙트의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저탄소·친환경 목표 달성이 중요한 빅테크 기업들에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냉각액을 순환시켜 서버를 냉각하는 액체 냉각 방식인 ‘CDU’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고객사군도 다양하다. 데이터센터 외에도 제약사, 헬스케어, 식음료, 플랜트 등 60개 이상의 대형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본격적으로 냉난방공조 사업에 뛰어든다. 공조사업은 가정부터 상업, 산업 시설에 최적의 공기와 온습도를 제공해 미래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대형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중앙공조 시장은 지난해 610억 달러(약 86조4천억 원)에서 2030년 990억 달러(약 140조3천억 원)으로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 달러(약 62조5천억 원) 규모로, 연평균 1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앞서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AI(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메드텍(소니오), 오디오·전장(룬,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등 미래 성장 산업 관련 기업을 연달아 인수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업체 플랙트를 인수하며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