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이 유심 정보 해킹 사건과 관련해 축소 신고하면서 초기 대처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수진 의원이 29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입수한 SK텔레콤 신고자료를 보면 SK텔레콤은 지난 20일 발생한 해킹 사고의 원인을 두고 '불상의 자에 의해 사내 장비에 악성코드를 설치해 당사 내 시스템의 파일을 유출한 의심정황이 파악됨'이라 신고했다. 
 
국힘 최수진 "SK텔레콤, 개인정보 누출 확인하고도 '의심정황'으로 신고"

▲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


실제 SK텔레콤은 20일에 이미 해킹 공격이 명확하고 심지어 개인정보 누출도 확인한 상태였지만 신고접수서에는 '의심정황'으로 기입한 것이다. 이로 인해 KISA 측의 사건파악과 전문가 파견도 늦춰졌다.

게다가 SK텔레콤은 KISA 측의 피해지원 서비스를 일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은 사건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보다 사건피해가 알려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데에만 급급했다는 의심을 샀다.

최 의원은 "SK텔레콤이 명확하게 해킹과 개인정보 누출을 확인하고도 의심정황으로 신고했다"며 "이에 더해 KISA측의 각종 피해지원과 후속지원을 모두 거부해 국민 피해와 혼란을 키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국회 청문회 등을 통해 가입자들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원대책 마련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