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서울 노후 도심의 재개발·재건축을 촉진하기 위해 용적률을 높이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5일 페이스북에 발표한 ‘수도권 공약’에서 “서울의 노후 도심은 재개발·재건축 진입장벽을 낮추고 용적률 상향과 분담금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집권 이후 서울 노후도심 재개발과 함께 1기 신도시 재정비와 4기 신도시 개발도 착수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그는 “1기 신도시(분당, 일산, 산본, 중동, 평촌)는 노후 인프라를 전면 재정비해 도시 기능과 주거 품질을 함께 높이겠다”며 “교통이 편리한 제4기 스마트 신도시 개발을 준비해 청년과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에게 쾌적하고 부담 가능한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수도권의 발전을 위해서는 서울과 인천, 경기지역의 장점이 시너지 효과를 내야한다며 주요 거점을 1시간 안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망을 확충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 후보는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해 서울, 경기, 인천은 통합된 하나의 경제공동체가 돼야한다”며 “GTX-A·B·C 노선은 지연되지 않게 추진하고 수도권 외곽과 강원까지 연장도 적극 지원해 GTX 소외지역을 줄여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GTX-D·E·F 등 신규 노선은 지역간 수요와 효율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경기도가 제안한 GTX플러스 노선도 적극 검토하겠다”며 “인천과 경기, 강원을 경강선으로 연결하고 경기 북부 접경지까지 KTX(파주)와 SRT(양주)를 연장 운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은 글로벌 경제수도, 인천은 글로벌 물류 허브(hub), 경기도는 글로벌 반도체 중심지로 키워야한다고 바라봤다.
이 후보는 “서울은 뉴욕, 런던, 파리와 경쟁하는 글로벌 경제수도로 도약해야 한다”며 “여의도 금융허브와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하나로 연결해 글로벌 자본과 기업들이 모이는 세계적 금융·비지니스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이어 인천에 관해 “공항과 항만, 배후도시를 연계한 글로벌 물류 허브를 목표로 지원하겠다”며 “송도, 영종도, 시흥 일대는 첨단 연구개발과 생산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로 키우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도를 세계적 반도체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완성을 강조했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완성을 위해 필요한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전력, 용수 공급 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경기도를) 세계 반도체 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며 “성남, 수원, 용인, 화성, 평택, 안성에 조성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연구개발부터 설계, 테스트, 생산까지 아우르는 완결형 생태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대철 기자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5일 페이스북에 발표한 ‘수도권 공약’에서 “서울의 노후 도심은 재개발·재건축 진입장벽을 낮추고 용적률 상향과 분담금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5일 수도권 공약을 발표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5일 전남 나주 전남농업기술원 청년창농타운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후보는 집권 이후 서울 노후도심 재개발과 함께 1기 신도시 재정비와 4기 신도시 개발도 착수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그는 “1기 신도시(분당, 일산, 산본, 중동, 평촌)는 노후 인프라를 전면 재정비해 도시 기능과 주거 품질을 함께 높이겠다”며 “교통이 편리한 제4기 스마트 신도시 개발을 준비해 청년과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에게 쾌적하고 부담 가능한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수도권의 발전을 위해서는 서울과 인천, 경기지역의 장점이 시너지 효과를 내야한다며 주요 거점을 1시간 안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망을 확충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 후보는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해 서울, 경기, 인천은 통합된 하나의 경제공동체가 돼야한다”며 “GTX-A·B·C 노선은 지연되지 않게 추진하고 수도권 외곽과 강원까지 연장도 적극 지원해 GTX 소외지역을 줄여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GTX-D·E·F 등 신규 노선은 지역간 수요와 효율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경기도가 제안한 GTX플러스 노선도 적극 검토하겠다”며 “인천과 경기, 강원을 경강선으로 연결하고 경기 북부 접경지까지 KTX(파주)와 SRT(양주)를 연장 운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은 글로벌 경제수도, 인천은 글로벌 물류 허브(hub), 경기도는 글로벌 반도체 중심지로 키워야한다고 바라봤다.
이 후보는 “서울은 뉴욕, 런던, 파리와 경쟁하는 글로벌 경제수도로 도약해야 한다”며 “여의도 금융허브와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하나로 연결해 글로벌 자본과 기업들이 모이는 세계적 금융·비지니스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이어 인천에 관해 “공항과 항만, 배후도시를 연계한 글로벌 물류 허브를 목표로 지원하겠다”며 “송도, 영종도, 시흥 일대는 첨단 연구개발과 생산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로 키우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도를 세계적 반도체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완성을 강조했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완성을 위해 필요한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전력, 용수 공급 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경기도를) 세계 반도체 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며 “성남, 수원, 용인, 화성, 평택, 안성에 조성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연구개발부터 설계, 테스트, 생산까지 아우르는 완결형 생태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