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후솔루션이 평택항과 유럽을 잇는 항로를 녹색해운항로로 바꿨을 때 감축 효과를 분석한 '탄소중립을 위한 대한민국-유럽 녹색해운항로: 국내 자동차 수출입 1위 평택항과 주요 유럽항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기후솔루션>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은 23일 '탄소중립을 위한 대한민국-유럽 녹색해운항로: 국내 자동차 수출입 1위 평택항과 주요 유럽항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기후솔루션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평택항과 유럽을 잇는 자동차운반선을 기반으로 녹색해운항로를 구축한다면 물동량이 가장 많은 항로 한 곳만 해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연간 140만 톤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자동차 산업의 수출 경쟁력도 강화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평택항은 국내 수입차 물량의 95% 이상을 처리하는 자동차 물류 핵심 거점이다. 최근 3년 동안 평택-유럽간 자동차운반선 운항 규모는 연간 286척, 운항 횟수는 연 430~450회 이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정부와 항만공사 주도로 운영되는 다른 주요 항만들과 달리 민간 주도로 유연한 운영 구조를 갖추고 있어 시범 항로 도입에도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
기후솔루션 연구진은 평택-유럽 녹색해운항로에서 사용할 핵심 연료로 '그린 메탄올'을 제시했다. 그린 메탄올은 액화천연가스(LNG) 등 기존 화석연료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저히 낮은 데다 액체연료이기 때문에 기존 선박 내 연료 공급 시설을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실제로 유럽연합은 기존 화석연료 대신 그린 메탄올 기반 저탄소 연료를 도입한다면 온실가스 배출을 약 70%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해당 수치를 평택-유럽간 자동차운반선 항로에 적용하면 물동량이 집중된 독일 브레머하펜 항로 한 곳에서만 연간 200만 톤에 달하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60만 톤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진은 구체적 연료 수급 전략도 함께 제안했다.
단기적으로는 울산항의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벙커링 거점으로 삼고 장기적으로는 평택항 인근에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을 활용한 이메탄올(e-methanol) 생산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자립적인 연료 수급 체계를 단계적으로 완성해 나간다.
이와 같은 녹색해운항로 전환은 자동차 산업의 간접 배출량 감축을 통한 국제 경쟁력 증진에도 유효한 것으로 평가됐다. 자동차는 생산부터 운송까지 전과정에 걸쳐 상당한 양의 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탄소 규제 강화 대상이 되고 있다.
한주은 기후솔루션 해운팀 연구원은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유럽과의 녹색해운항로가 새로운 기회로 떠오르고 있다"며 "국제해사기구(IMO)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유럽연합의 규제 강화에 대응해 국내 선사와 조선업계의 중장기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녹색해운항로 구축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