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최형록 발란 대표는 31일 입점 판매자들에게 공지문을 통해 회생절차 신청 사실을 알리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최 대표는 “올해 1분기 계획했던 투자 유치가 일부 진행됐으나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되면서 단기적 유동성 경색에 직면했다”며 “입점 판매자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회생절차에 돌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발란의 정상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전망을 내놨다.
최 대표는 “발란은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미지급 상거래 채권 규모도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플랫폼에 대한 높은 신뢰와 시장 점유율을 고려할 때 단기 유동성만 해소된다면 빠른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발란은 회생 인가 전 외부 인수자 유치를 목표로 매각 절차도 병행한다. 이번 주 중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인수합병(M&A) 절차에 착수한다.
최형록 대표는 이번 회생 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채권자가 금융권이 아닌 입점 판매자들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최 대표는 “플랫폼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입점 판매자들이 지속적으로 사업을 이어갈 수 있어야 잠재 인수자도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며 “판매자 여러분은 법적 지위 이상의 의미를 지닌 핵심 이해관계자”라고 말했다.
발란은 회생 절차를 통해 회생 인가 전 인수자 유치, 미지급 채권 전액 변제, 안정적인 정산 환경 복원, 거래 지속 기반 마련 등을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최 대표는 “회생은 채권자를 버리는 절차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라며 “신뢰 회복을 바탕으로 정산 안정화, 관계 회복, 플랫폼 정상화를 반드시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김예원 기자
최형록 발란 대표는 31일 입점 판매자들에게 공지문을 통해 회생절차 신청 사실을 알리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 최형록 발란 대표가 31일 입점 판매자들에게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알렸다. <발란>
최 대표는 “올해 1분기 계획했던 투자 유치가 일부 진행됐으나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되면서 단기적 유동성 경색에 직면했다”며 “입점 판매자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회생절차에 돌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발란의 정상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전망을 내놨다.
최 대표는 “발란은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미지급 상거래 채권 규모도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플랫폼에 대한 높은 신뢰와 시장 점유율을 고려할 때 단기 유동성만 해소된다면 빠른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발란은 회생 인가 전 외부 인수자 유치를 목표로 매각 절차도 병행한다. 이번 주 중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인수합병(M&A) 절차에 착수한다.
최형록 대표는 이번 회생 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채권자가 금융권이 아닌 입점 판매자들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최 대표는 “플랫폼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입점 판매자들이 지속적으로 사업을 이어갈 수 있어야 잠재 인수자도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며 “판매자 여러분은 법적 지위 이상의 의미를 지닌 핵심 이해관계자”라고 말했다.
발란은 회생 절차를 통해 회생 인가 전 인수자 유치, 미지급 채권 전액 변제, 안정적인 정산 환경 복원, 거래 지속 기반 마련 등을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최 대표는 “회생은 채권자를 버리는 절차가 아니라 모두가 함께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라며 “신뢰 회복을 바탕으로 정산 안정화, 관계 회복, 플랫폼 정상화를 반드시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김예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