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가 스마트 건설기술 확산과 관리 체계 마련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서울형 스마트 건설 전환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서울시>
서울시는 13일 스마트 건설기술 확산과 관리 체계 마련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서울형 스마트 건설 전환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건설 산업이 최근 고령화로 기술인력 부족과 생산성 하락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근본적 체질개선을 목표로 ‘서울형 건설정보모델링(BIM) 기술’을 도입한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BIM는 계획·설계·조달·시공·유지관리 등 건설공사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3차원 모델에 반영해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다. 건설과정의 생산성과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서울시는 3월부터 새롭게 발주하는 기술형 입찰공사와 민간투자사업을 대상으로 BIM를 적용할 계획을 세웠다. 다만 준비상황 등을 고려해 공사비 300억 원 이상은 2027년부터, 공사비 100억 원 이상은 2029년부터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의무대상에 속하는 건설공사의 경우 감리에도 BIM 데이터 등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하도록 했다. 이에 따른 적정한 대가도 반영한다.
BIM을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13일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활용을 목표로 ‘BIM 기반 협업플랫폼(CDE) 실증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서울형 스마트 건설 전환과 활성화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기술인력 부족, 낮은 생산성 등 건설 산업 위기 극복과 함께 안전과 품질이 담보된 도시 인프라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시행과정에서 업계부담은 최소화하고 발생하는 문제점은 모니터링, 관련 전문가 의견 청취 등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