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감독원이 전자금융업자 최고경영자들에 선불충전금과 정산자금 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이종호 금감원 디지털·IT 부원장보는 12일 네이버파이낸셜 본사에서 ‘전자금융업자 CEO 간담회’를 열고 “전자금융 서비스는 이용자 일상이 깊이 관련돼 ‘돈’과 ‘정보’가 함께 이동하는 거래인 만큼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감원 전자금융업권 CEO 첫 간담회, "PG사 정산자금 관리 철저히 해야"

▲ 금융감독원이 전자금융업계 CEO 간담회를 열고 티메프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정산자금 관리와 금융사고 예방 노력 등을 당부했다.


이 부원장보는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전자지급결제사의 판매자 정산자금 별도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는 만큼 업계에서도 차질 없이 준비해달라”며 “충전금 별도관리와 대표 가맹점 의무사항 등 개정 전자금융법 이행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말했다.

금융상품 추천 알고리즘 운영체계 관리도 강조했다.

이 부원장보는 “인공지능(AI) 활용 등으로 알고리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알고리즘이 금융회사의 이익이 아니라 소비자의 이익을 최우선에 놓고 선택권을 왜곡, 침해하지 않도록 지속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부원장보는 이밖에 신기술 활용 등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IT 리스크에 대비한 보안통제 강화, 비상시 업무지속성 확보방안 수립 등 IT 안정성 강화에도 힘써달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네이버파이낸셜, 비바리퍼블리카, 뱅크샐러드, NHNKCP, 카카오페이, 나이스페이먼츠, 쿠팡페이, 토스페이먼츠, 트래블월렛, 페이업 등 10곳의 최고경영자와 핀테크산업협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금감원은 “당국은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디지털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낡은 감독 관행과 규제를 개선해가겠다”며 “또 효율적 상시감시와 검사를 통해 소비자 피해, 불편 유발 요인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