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저축은행·카드사·보험사 등 제2금융권 연체액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금융권(은행·저축은행·생명보험·카드) 연체 규모는 약 23조8천억 원에 달한다.
금융권 연체 규모는 2021년 7조8천억 원에서 2022년 10조5천억 원, 2023년 말 16조9천억 원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20조6천억 원까지 늘어난 데 이어 올해도 증가세가 이어진 것이다.
업권 가운데서는 저축은행의 연체액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지난달 저축은행업권의 연체 규모는 9조1천억 원으로 지난해 8조3천억 원보다 9.6% 늘어났다.
저축은행 연체액은 2021년 말 2조5천억 원에서 약 3년 만에 2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금융권 가운데 가장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정리가 늦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른 제2금융권 연체 규모도 늘어나고 있다. 전업 카드사 대출(카드론·현금서비스 포함) 연체액은 1조5천억 원 규모로 지난해 1조3천억 원보다 15.4% 늘어났다. 생명보험업권 연체액은 같은 기간 4천억 원에서 5천억 원으로 증가했다.
지난달 은행업권 연체액은 12조7천억 원을 기록해 금융권 가운데 가장 많은 연체액을 기록했다. 지난해 10조6천억 원보다 19.8% 늘어난 것이다.
강 의원은 “올해 들어 금융업권 대출 연체 규모가 가계와 기업 모두 상승해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며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과 내수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에 금융 당국의 적극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용 기자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금융권(은행·저축은행·생명보험·카드) 연체 규모는 약 23조8천억 원에 달한다.

▲ 금융감독원이 24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 연체 규모는 약 23조8천억 원에 이른다.
금융권 연체 규모는 2021년 7조8천억 원에서 2022년 10조5천억 원, 2023년 말 16조9천억 원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20조6천억 원까지 늘어난 데 이어 올해도 증가세가 이어진 것이다.
업권 가운데서는 저축은행의 연체액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지난달 저축은행업권의 연체 규모는 9조1천억 원으로 지난해 8조3천억 원보다 9.6% 늘어났다.
저축은행 연체액은 2021년 말 2조5천억 원에서 약 3년 만에 2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금융권 가운데 가장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정리가 늦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른 제2금융권 연체 규모도 늘어나고 있다. 전업 카드사 대출(카드론·현금서비스 포함) 연체액은 1조5천억 원 규모로 지난해 1조3천억 원보다 15.4% 늘어났다. 생명보험업권 연체액은 같은 기간 4천억 원에서 5천억 원으로 증가했다.
지난달 은행업권 연체액은 12조7천억 원을 기록해 금융권 가운데 가장 많은 연체액을 기록했다. 지난해 10조6천억 원보다 19.8% 늘어난 것이다.
강 의원은 “올해 들어 금융업권 대출 연체 규모가 가계와 기업 모두 상승해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며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과 내수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에 금융 당국의 적극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