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 조선업 견제에 한국 중요성 커져, HD현대중공업 한화 역할 주목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0년 6월25일 위스콘신주 마리네트 조선소를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두 번째 임기를 맞아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에 나섰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트럼프 정부가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면서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한국 조선사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국방 당국이 한국 조선업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데다 미국 정치권 또한 법 개정을 통해 해외 조선사 유치를 지원해 한미 조선업 협력 기반이 넓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20일(현지시각)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HD현대중공업과 같은 미국 동맹국 조선사는 중국과 벌이는 경쟁에 핵심 역할을 맡을 듯하다”고 보도했다. 

중국 조선사가 전 세계 모든 상선의 50% 이상을 생산하고 군함 건조 능력은 미국의 230배 이상이다. 이에 미국이 한국 조선사 쪽에 손을 내밀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바라봤다.

미국 내 조선소 다수는 노후화해 함선 건조 능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미국이 중국의 인도-태평양 지역 해양 패권 도전에 대응하려면 한국 기업의 선박 제조 능력이 필수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세계 선박 생산량 28%를 차지한다”며 미국에 전략적 중요성이 크다고 짚었다. 역시 미국 동맹국이자 조선 설비를 어느 정도 갖춘 일본도 거론됐다. 

실제 미국 고위 국방 관료 다수는 한국이 미 해군용 함선을 건조하길 내심 바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치권도 지난해 12월 ‘미국의 번영과 안보를 위한 조선업과 항만시설법’(SHIPS for America Act)‘을 발의했다. 이는 미국 내 선박 건조를 장려하고 조선업 기반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안은 민주당 소속 마크 켈리 상원의원과 존 가라멘디 하원의원, 공화당 토드 영 상원의원 및 트렌드 켈리 하원의원이 발의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여지가 높다고 바라봤다.  
 
트럼프 중국 조선업 견제에 한국 중요성 커져, HD현대중공업 한화 역할 주목 

▲ 19일 중국 장쑤성 타이창 항구에서 한 선박이 건조되고 있다. <연합뉴스>

아예 동맹국에서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도 최근 제출됐다.

마이크 리 상원의원과 존 커티스 상원의원이 5일 공동 발의한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과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이다.

미국은 그동안 존스법에 따라 연안에서 승객과 물품을 운송하는 선박은 자국 안에서만 건조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대체 및 보완할 법안이 발의된 것이다.

해운 전문매체 씨트레이드마리타임은 “미 상원 초당파 그룹을 비롯한 정치권은 해운 산업을 살리고 중국 조선업에 도전하기 위해 광범위한 투자를 준비했다”고 전했다. 

이에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중요도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두 기업이 이미 미국 국방 및 정치권으로부터 주목받으며 협력 관계를 넓히고 있다.

카를로스 델 토로 미 해군성 장관이 지난해 2월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 및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한 장면은 양국 협업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실제 함선 수주 및 조선소 인수 거래도 성사됐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8월 4만 톤 규모의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수주했다. 

한화그룹은 1억 달러를 들여 미국 필라델피아주 소재 필리조선소를 인수하기도 했다. 이곳을 마크 켈리 미국 상원의원이 직접 찾기도 했다. 

한국투자증권은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기업 가치가 미국 시장 진출로 각각 4조3천억 원과 4조7천억 원 상승할 것으로 추정했다. 

요컨대 미국 정치권과 국방 당국이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고자 우방국에 함정 건조 시장 개방을 넓히면 HD현대중공업 및 한화오션 등 한국 기업에 수혜가 돌아갈 공산이 크다. 

다만 이코노미스트는 수주 물량 감소를 우려하는 미국 조선업계의 반대, 조선소 인력 확보의 어려움 등이 원활한 협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