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하나증권은 14일 카카오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은 무난하며, 메시지도 여전히 견조하다고 평가했다.
이준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의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대비 2.0% 줄어든 1조9592억 원, 영업이익은 33.7% 감소한 1067억 원으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하회, 추정치에는 부합한 실적을 기록했다”라며 “지난해 4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6% 늘어난 1조491억 원”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4분기 톡비즈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6% 증가한 5627억 원을 기록했다”라며 “광고부문에서 비즈니스 메시지는 전년 동기대비 18% 증가하며 대체 불가능한 채널로 자리잡으며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비즈보드 광고의 부진은 지속되고 있어 지면 개편의 필요성을 재확인한 것으로 봤다. 이 연구원은 “11월 신규 전면 광고 상품 ‘포커스 풀 뷰’를 오픈채팅 탭에서 제공했으나 온기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영업비용은 전년 동기대비 0.8% 늘어난 1조8524억 원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용 특이사항으로는 상각비가 2461억 원을 기록한 점인데, 이는 3분기 영업외로 인식한 티메프 관련 비용을 재산입한 영향 때문이다.
카카오의 2025년 영업수익은 전년대비 3.5% 증가한 8조1525억 원, 영업이익은 8.6% 늘어난 5339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콘텐츠 부문의 부진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본업과 AI의 성과에 대한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연내 카카오톡의 체류 시간 +20% 향상을 위한 개편 방안을 공개했다. 카카오톡 내 발견 지면을 추가할 예정으로 트래픽 및 광고지면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 연구원은 “인스타그램 피드와 유사하게 이미지, 동영상, 숏폼 컨텐츠가 공존하는 형식을 예상한다”라며 “또한 현재 샵검색을 AI 생성형 검색으로 개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퍼블렉시티와 같이 AI 검색 엔진으로 발전을 예상하며 추후 구독 BM(비즈니스 모델)도입 및 검색 광고 매출 기대가 가능한 방향이라고 판단한다”라며 “장기적으로는 카카오톡 내에서 function call로 카카오톡의 모빌리티, 지도 등 모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전 국민이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톡이기에 모든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과정의 난도는 높다”라며 “기존 사용자의 서비스를 해치지 않는 수준의 최적화가 필요하며 향후 구체적인 업데이트 계획 공개 및 활성화에 따라 추정치를 반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카카오톡에 SNS와 AI Agent를 입혀 발전시키는 현재 방향성은 긍정적”이라며 “이외에 신규 AI 메신저 앱 ‘카나나’는 1월 사내 CBT(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마쳤으며 상반기 내로 일반 사용자 CBT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까지 국내 AI 앱 시장에서 챕GPT라는 상징적인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메인 앱은 없다”며 “오픈AI의 모델을 포함하여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제공하는 카카오가 높은 점유율 가져올 수 있으며, 카카오톡에 직접 적용하기에 AI 서비스의 상용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카카오의 2025년 영업수익은 전년대비 3.5% 증가한 8조1525억 원, 영업이익은 8.6% 늘어난 5339억 원으로 추정됐다. 장원수 기자
이준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의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대비 2.0% 줄어든 1조9592억 원, 영업이익은 33.7% 감소한 1067억 원으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하회, 추정치에는 부합한 실적을 기록했다”라며 “지난해 4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6% 늘어난 1조491억 원”이라고 밝혔다.
![하나증권 "카카오톡에 SNS와 AI 에이전트 입히려는 카카오 방향성은 긍정적"](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2/20250214225943_157784.jpg)
▲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체류시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개편하고 있다.
이어 “지난해 4분기 톡비즈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6% 증가한 5627억 원을 기록했다”라며 “광고부문에서 비즈니스 메시지는 전년 동기대비 18% 증가하며 대체 불가능한 채널로 자리잡으며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비즈보드 광고의 부진은 지속되고 있어 지면 개편의 필요성을 재확인한 것으로 봤다. 이 연구원은 “11월 신규 전면 광고 상품 ‘포커스 풀 뷰’를 오픈채팅 탭에서 제공했으나 온기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영업비용은 전년 동기대비 0.8% 늘어난 1조8524억 원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용 특이사항으로는 상각비가 2461억 원을 기록한 점인데, 이는 3분기 영업외로 인식한 티메프 관련 비용을 재산입한 영향 때문이다.
카카오의 2025년 영업수익은 전년대비 3.5% 증가한 8조1525억 원, 영업이익은 8.6% 늘어난 5339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콘텐츠 부문의 부진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본업과 AI의 성과에 대한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연내 카카오톡의 체류 시간 +20% 향상을 위한 개편 방안을 공개했다. 카카오톡 내 발견 지면을 추가할 예정으로 트래픽 및 광고지면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 연구원은 “인스타그램 피드와 유사하게 이미지, 동영상, 숏폼 컨텐츠가 공존하는 형식을 예상한다”라며 “또한 현재 샵검색을 AI 생성형 검색으로 개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퍼블렉시티와 같이 AI 검색 엔진으로 발전을 예상하며 추후 구독 BM(비즈니스 모델)도입 및 검색 광고 매출 기대가 가능한 방향이라고 판단한다”라며 “장기적으로는 카카오톡 내에서 function call로 카카오톡의 모빌리티, 지도 등 모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전 국민이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톡이기에 모든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과정의 난도는 높다”라며 “기존 사용자의 서비스를 해치지 않는 수준의 최적화가 필요하며 향후 구체적인 업데이트 계획 공개 및 활성화에 따라 추정치를 반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카카오톡에 SNS와 AI Agent를 입혀 발전시키는 현재 방향성은 긍정적”이라며 “이외에 신규 AI 메신저 앱 ‘카나나’는 1월 사내 CBT(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마쳤으며 상반기 내로 일반 사용자 CBT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까지 국내 AI 앱 시장에서 챕GPT라는 상징적인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메인 앱은 없다”며 “오픈AI의 모델을 포함하여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제공하는 카카오가 높은 점유율 가져올 수 있으며, 카카오톡에 직접 적용하기에 AI 서비스의 상용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카카오의 2025년 영업수익은 전년대비 3.5% 증가한 8조1525억 원, 영업이익은 8.6% 늘어난 5339억 원으로 추정됐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