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한국 전체 전력 거래량에서 원자력 발전 전기가 차지한 비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 전체 전력 거래량 54만9387기가와트시(GWh) 가운데 원자력 발전 비중은 32.5%로 가장 컸다.
원자력 발전 비중은 2023년 31.5%에서 1%포인트 증가했다.
원자력을 이어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 및 신재생에너지 각각 29.8%와 29.4%, 6.9% 순이었다. 석탄 발전 비중은 2023년 32.9%에서 3.5%포인트 낮아졌다.
지난해 원자력 발전 비중 수치는 2009년(34.8%) 이후 15년 만에 가장 높았다.
원전이 최대 발전원에 오른 일 또한 2006년 이후 18년 만이다. 2007∼2023년 17년 동안 한국 내 최대 발전원은 석탄이었다.
지난해 새 원전 1기가 추가로 투입돼 원전 발전 비중이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신한울 2호기는 지난해 4월5일 상업 운전에 들어갔다. 이에 한국 전체 가동 원전은 모두 26기로 늘어났다.
전체 원전 가동률이 향상된 점도 원자력 발전 비중을 높인 요소로 거론됐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원전 가동률은 83.8%로 2015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현재 공사 마무리 단계인 새울 3·4호기와 지난해 착공한 신한울 3·4호기까지 나중에 투입되면 한국 내 가동 원전은 모두 30기가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국회에 제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정안에서 원전 2기 추가 건설을 전제로 2038년 발전량 가운데 원전 비중을 35.1%로 제시했다. 같은 시점 재생에너지 비중은 29.2%로 예상됐다. 이근호 기자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 전체 전력 거래량 54만9387기가와트시(GWh) 가운데 원자력 발전 비중은 32.5%로 가장 컸다.
![지난해 한국 원자력 발전량 비중 32.5%로 상승해 1위 꿰차, 석탄은 감소](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2/20250209121551_35643.jpg)
▲ 경북 울진에 위치한 신한울 원전 1·2호기. <연합뉴스>
원자력 발전 비중은 2023년 31.5%에서 1%포인트 증가했다.
원자력을 이어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 및 신재생에너지 각각 29.8%와 29.4%, 6.9% 순이었다. 석탄 발전 비중은 2023년 32.9%에서 3.5%포인트 낮아졌다.
지난해 원자력 발전 비중 수치는 2009년(34.8%) 이후 15년 만에 가장 높았다.
원전이 최대 발전원에 오른 일 또한 2006년 이후 18년 만이다. 2007∼2023년 17년 동안 한국 내 최대 발전원은 석탄이었다.
지난해 새 원전 1기가 추가로 투입돼 원전 발전 비중이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신한울 2호기는 지난해 4월5일 상업 운전에 들어갔다. 이에 한국 전체 가동 원전은 모두 26기로 늘어났다.
전체 원전 가동률이 향상된 점도 원자력 발전 비중을 높인 요소로 거론됐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원전 가동률은 83.8%로 2015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현재 공사 마무리 단계인 새울 3·4호기와 지난해 착공한 신한울 3·4호기까지 나중에 투입되면 한국 내 가동 원전은 모두 30기가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국회에 제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정안에서 원전 2기 추가 건설을 전제로 2038년 발전량 가운데 원전 비중을 35.1%로 제시했다. 같은 시점 재생에너지 비중은 29.2%로 예상됐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