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에 트럼프의 중국 수입관세 영향 '제한적' 전망, 아이폰 가격 유지할 듯

▲ 애플이 미국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수입관세 정책에 받을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애플 아이폰 위탁생산 업체 폭스콘의 중국 생산공장.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트럼프 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를 결정하며 중국 공장에서 대부분의 제품을 생산하는 애플이 직격타를 받을 가능성이 떠오른다.

그러나 애플이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중국에 의존을 낮춘 만큼 실제로 실적에 받을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분석이 나왔다.

투자전문지 인베스팅닷컴은 3일(현지시각) 뱅크오브아메리카 분석을 인용해 “애플이 이번에도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임기에 중국에서 수입되는 다수 제품을 관세 대상에 포함했다. 그러나 중국 공장에서 제조되는 애플 제품에는 이를 면제했다.

이번 임기에도 중국에 10%의 수입관세 부과가 결정되며 애플이 영향권에 놓이게 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애플이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미국 정부 정책으로 받을 타격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을 전했다.

애플이 미국에서 판매하는 제품 가운데 약 80%를 중국 이외에서 제조해 공급할 능력을 갖춘 만큼 관세 영향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애플이 인도와 동남아시아 국가로 아이폰을 비롯한 제품 생산공장을 다변화한 성과가 반영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가 애플 주당순이익에 0.05달러 안팎의 손해를 끼치는 데 불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완전히 상쇄하려면 애플이 미국에서 제품 가격을 약 3% 인상해야 하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애플이 미국에서 판매 가격을 유지한다면 자연히 이번 관세 정책이 제품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낮아진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애플 아이폰 대부분은 현재 인도에서 생산될 수 있다”며 “만약 중국에서 계속 이를 제조한다면 주당순이익에 미치는 타격은 0.12달러 정도로 커질 것”이러고 전했다.

하지만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애플이 공급망 조절과 가격 정책을 활용해 이런 타격도 충분히 만회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 출범은 정부 규제 리스크를 낮춰 애플과 구글을 비롯한 빅테크 기업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부분이 많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