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정유사의 지난해 휘발유·경유 수출량이 사상 최대로 기록됐다.
대한석유협회는 지난해 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휘발유 수출량은 1억1189만 배럴, 경유는 2억116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휘발유·경유 수출량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92년 이후 가장 컸다. 이에 힘입어 전체 석유제품 수출량도 4억90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집계됐다.
정유업계는 지난해 수입 원유 가운데 52.5%를 정제해 수출한 것으로 원유 도입량 가운데 수출 비중도 역대 최고치로 기록됐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가 41.1%로 가장 컸고 휘발유(22.8%)와 항공유(18%), 나프타(8.1%) 순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호주가 18%가 가장 높았고 일본 12.9%, 싱가포르 12.5%, 미국 8.8%, 중국 8.7% 순으로 집계됐다.
석유협회는 “미국 새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져 석유제품 수출 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이라며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주력해 석유제품 수출의 질을 높일 것이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
대한석유협회는 지난해 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휘발유 수출량은 1억1189만 배럴, 경유는 2억116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 국내 정유사의 지난해 휘발유·경유 수출량이 사상 최대로 기록됐다. 사진은 에쓰오일 울산공장 전경. <에쓰오일>
휘발유·경유 수출량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92년 이후 가장 컸다. 이에 힘입어 전체 석유제품 수출량도 4억90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집계됐다.
정유업계는 지난해 수입 원유 가운데 52.5%를 정제해 수출한 것으로 원유 도입량 가운데 수출 비중도 역대 최고치로 기록됐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가 41.1%로 가장 컸고 휘발유(22.8%)와 항공유(18%), 나프타(8.1%) 순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호주가 18%가 가장 높았고 일본 12.9%, 싱가포르 12.5%, 미국 8.8%, 중국 8.7% 순으로 집계됐다.
석유협회는 “미국 새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져 석유제품 수출 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이라며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주력해 석유제품 수출의 질을 높일 것이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