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실징후기업 추이. <금융감독원>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 이하(부실징후기업)를 받은 대기업은 11곳으로 집계됐다. 지난해(9곳)보다 두 곳 늘었다.
정기신용평가는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을 판별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로 A(정상 영업 가능)와 B(부실징후 가능성), C(부실징후기업, 정상화 가능성 높음), D(부실징후기업, 정상화 가능성 낮음) 등의 4개 등급으로 나뉜다.
금융권 신용공여 액수 500억 원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대기업, 미만은 중소기업으로 분류된다.
올해는 대기업 가운데 C등급은 4곳, D등급은 7곳이 받았다. 지난해 평가에서는 C등급 7곳, D등급 2곳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가운데서는 올해 219곳이 부실징후기업으로 분류돼 지난해보다 3곳 줄었다. 다만 이 가운데 D등급으로 분류된 곳은 123곳으로 지난해보다 12곳 증가했다.
전체적으로는 C등급은 100곳, D등급은 130곳이 받았다. C등급은 지난해보다 18곳이 줄었지만 D등급은 17곳이 늘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이 30곳으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21)와 고무·플라스틱과 기계·장비가 각각 18곳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 대상 은행권의 신용공여 규모는 9월말 기준 1조9천억 원으로 부실징후기업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2069억 원 가량으로 이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폭도 미미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을 대상으로 신속한 워크아웃과 부실 정리를 유도할 것”이라며 “부실징후기업이 아니라도 일시적 금융애로를 겪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금융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