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코스피지수가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계엄령 이후 수습을 기대하고 저점 매수에 들어갔던 개인투자자들은 지난 주 금요일부터 매도세로 돌아섰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밸류업 정책 동력이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 등에 개인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선 것인데 증시 추가 하락을 막고 투자심리 회복을 위해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를 투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9일 코스피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1.47% 내린 2392.37에 장을 출발한 뒤 오전 장 내내 하락폭을 키웠다. 오전 장중 한 때 2372.20까지 밀리며 52주 신저가 기록을 새로 썼다.
개인투자자가 지수 하락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개인투자자는 6일 코스피시장에서 4650억 원어치를 순매도한 데 이어 이날도 오전 장에서 5천억 원 넘게 순매도했다.
기관투자자는 6일에 이어 순매수를 이어갔고 외국인투자자는 오전 장 소규모지만 순매수 흐름을 보였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개인투자자 순매도가 이어지는 만큼 정부도 증안펀드 도입을 저울질하고 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증시안정펀드 등 시장안정조치를 즉시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4일 계엄 상황 해제 이후 열린 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 “10조 원 규모의 증안펀드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증안펀드는 주식시장 안정화를 목적으로 정책기관의 주도에 따라 주식을 매수하는 펀드를 말한다. 증시가 회복될 때까지 한시적 운용을 원칙으로 개별 종목 주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장 대표 지수상품에 투자한다.
다만 실제 증안펀드가 가동될지는 미지수다.
증안펀드는 1990년 5월 시장 폭락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했던 증권시장 안정기금(증안기금)을 모태로 한다.
당시 증안기금은 1990년 3저 호황(저금리·저유가·저달러) 호황에 크게 오른 증시가 과도한 증자와 유상증자가 맞물려 폭락했을 때 깡통계좌 매물을 동시호가로 일괄 매입해 폭락의 도화선을 끊었다. 당시 조성 기금은 4조8600억 원으로 당시 시가총액의 5.6%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었다.
증안기금에 이어 출시된 증안펀드는 2003년, 2008년, 2020년, 2022년 4차례 조성됐다. 하지만 실제 집행은 2003년 신용카드 대출 부실사태와 2008년 리먼브라더스발 금융위기 때 이뤄졌다.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사태 때 10조7600억 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됐으나 집행되지는 않았다.
당시 코스피지수는 연초 2200선에서 2020년 3월 한 때 1430선까지 밀렸으나 3월 말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로금리 정책 등에 힘입어 반등하자 증안펀드는 없던 일이 됐다.
2022년 증안펀드는 2020년도에 집행되지 않은 자금을 집행하기로 했지만 이때도 국내 증시의 기초체력을 믿고 결국 투입되지 않았다.
증안펀드가 실제 투입됐던 2003년과 2008년 코스피는 2020년과 2022년과 비교해 더욱 큰 변동성을 보였다.
코스피지수는 2002년 신용카드 사태 발발과 이라크 전쟁 가능성 등으로 4월 900선 위에서 2003년 2월 600선 아래로 밀렸다. 이에 4천억 원(당시 시총의 0.1%) 기금이 조성됐고 2월3일부터 자금이 투입됐다.
2008년에는 코스피지수가 5월 1800선 위에서 그해 10월 1천 선 아래로 급락했고 이에 11월 5015억 원(당시 시총의 0.1%) 규모 펀드가 집행됐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증안펀드가 주식시장에 개입한 뒤 국내 증시 변동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 2003년과 2008년 모두 증안펀드 집행 이후 2003년 3월과 2008년 11월 저점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했다.
증안펀드는 정부가 증시 버팀목 역할을 한다는 신호를 시장에 줘 투자심리 개선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부는 이미 구축한 밸류업펀드를 우선 투입하며 시장 움직임을 살펴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시장에는 밸류업펀드 300억 원이 투입됐고 이번 주 700억 원, 다음 주 300억 원이 순차 집행된다. 이어 3천억 원의 2차 밸류업펀드가 추가 조성된다.
정부는 증안펀드 집행 이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우려해 집행에 신중한 것으로 보인다.
증안펀드 집행 뒤 청산할 때 발생하는 위험은 도입 시점과 반대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채권안정펀드나 프라이머리 자산담보부증권(P-CBO) 투입 등 채권형 시장안정기구와 비교해 정책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국내증시는 개인·외국인투자자 자금 이탈이 심화하고 있고 연기금을 중심으로 기관투자자가 물량을 받아내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비상계엄 사태가 일단락 되는 듯 보였지만 탄핵안이 폐기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민주당이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를 10일 예정대로 폐지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현 정부에서 추진하던 밸류업 프로그램과 등 증시활성화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졌고 정책 수혜주로 꼽히던 방산·원자력업종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져 개인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투자유인이 옅어지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현재 증시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보고 투자심리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전방위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이날 "심리적 위축과 금융시장 불안을 최소화해 경기를 방어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자금경색에 따른 위험을 막기 위해 추가 유동성 정책도 추진돼야 하고 무엇보다 한국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한 국제적 신인도 하락을 막기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증시는 지난 주 정치 불확실성에 방향성을 잃었고 개인투자자를 비롯한 국내 자금은 체계적 위험 부담에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 증시가 반등하려면 외국인투자자가 나서야 하지만 상황이 만만찮다”고 바라봤다. 류수재 기자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밸류업 정책 동력이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 등에 개인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선 것인데 증시 추가 하락을 막고 투자심리 회복을 위해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를 투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9일 국내 증시 하락에 대응해 증시안정펀드를 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사진은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모습. <연합뉴스>
9일 코스피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1.47% 내린 2392.37에 장을 출발한 뒤 오전 장 내내 하락폭을 키웠다. 오전 장중 한 때 2372.20까지 밀리며 52주 신저가 기록을 새로 썼다.
개인투자자가 지수 하락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개인투자자는 6일 코스피시장에서 4650억 원어치를 순매도한 데 이어 이날도 오전 장에서 5천억 원 넘게 순매도했다.
기관투자자는 6일에 이어 순매수를 이어갔고 외국인투자자는 오전 장 소규모지만 순매수 흐름을 보였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개인투자자 순매도가 이어지는 만큼 정부도 증안펀드 도입을 저울질하고 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증시안정펀드 등 시장안정조치를 즉시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4일 계엄 상황 해제 이후 열린 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 “10조 원 규모의 증안펀드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증안펀드는 주식시장 안정화를 목적으로 정책기관의 주도에 따라 주식을 매수하는 펀드를 말한다. 증시가 회복될 때까지 한시적 운용을 원칙으로 개별 종목 주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장 대표 지수상품에 투자한다.
다만 실제 증안펀드가 가동될지는 미지수다.
증안펀드는 1990년 5월 시장 폭락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했던 증권시장 안정기금(증안기금)을 모태로 한다.
당시 증안기금은 1990년 3저 호황(저금리·저유가·저달러) 호황에 크게 오른 증시가 과도한 증자와 유상증자가 맞물려 폭락했을 때 깡통계좌 매물을 동시호가로 일괄 매입해 폭락의 도화선을 끊었다. 당시 조성 기금은 4조8600억 원으로 당시 시가총액의 5.6%에 해당하는 큰 금액이었다.
증안기금에 이어 출시된 증안펀드는 2003년, 2008년, 2020년, 2022년 4차례 조성됐다. 하지만 실제 집행은 2003년 신용카드 대출 부실사태와 2008년 리먼브라더스발 금융위기 때 이뤄졌다.
2020년 코로나 펜데믹 사태 때 10조7600억 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됐으나 집행되지는 않았다.
당시 코스피지수는 연초 2200선에서 2020년 3월 한 때 1430선까지 밀렸으나 3월 말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로금리 정책 등에 힘입어 반등하자 증안펀드는 없던 일이 됐다.
2022년 증안펀드는 2020년도에 집행되지 않은 자금을 집행하기로 했지만 이때도 국내 증시의 기초체력을 믿고 결국 투입되지 않았다.
증안펀드가 실제 투입됐던 2003년과 2008년 코스피는 2020년과 2022년과 비교해 더욱 큰 변동성을 보였다.
코스피지수는 2002년 신용카드 사태 발발과 이라크 전쟁 가능성 등으로 4월 900선 위에서 2003년 2월 600선 아래로 밀렸다. 이에 4천억 원(당시 시총의 0.1%) 기금이 조성됐고 2월3일부터 자금이 투입됐다.
2008년에는 코스피지수가 5월 1800선 위에서 그해 10월 1천 선 아래로 급락했고 이에 11월 5015억 원(당시 시총의 0.1%) 규모 펀드가 집행됐다.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거시경제·금융 현안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증안펀드가 주식시장에 개입한 뒤 국내 증시 변동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 2003년과 2008년 모두 증안펀드 집행 이후 2003년 3월과 2008년 11월 저점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했다.
증안펀드는 정부가 증시 버팀목 역할을 한다는 신호를 시장에 줘 투자심리 개선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부는 이미 구축한 밸류업펀드를 우선 투입하며 시장 움직임을 살펴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시장에는 밸류업펀드 300억 원이 투입됐고 이번 주 700억 원, 다음 주 300억 원이 순차 집행된다. 이어 3천억 원의 2차 밸류업펀드가 추가 조성된다.
정부는 증안펀드 집행 이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우려해 집행에 신중한 것으로 보인다.
증안펀드 집행 뒤 청산할 때 발생하는 위험은 도입 시점과 반대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채권안정펀드나 프라이머리 자산담보부증권(P-CBO) 투입 등 채권형 시장안정기구와 비교해 정책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국내증시는 개인·외국인투자자 자금 이탈이 심화하고 있고 연기금을 중심으로 기관투자자가 물량을 받아내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비상계엄 사태가 일단락 되는 듯 보였지만 탄핵안이 폐기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민주당이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를 10일 예정대로 폐지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현 정부에서 추진하던 밸류업 프로그램과 등 증시활성화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졌고 정책 수혜주로 꼽히던 방산·원자력업종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져 개인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투자유인이 옅어지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현재 증시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보고 투자심리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전방위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이날 "심리적 위축과 금융시장 불안을 최소화해 경기를 방어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자금경색에 따른 위험을 막기 위해 추가 유동성 정책도 추진돼야 하고 무엇보다 한국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한 국제적 신인도 하락을 막기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증시는 지난 주 정치 불확실성에 방향성을 잃었고 개인투자자를 비롯한 국내 자금은 체계적 위험 부담에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 증시가 반등하려면 외국인투자자가 나서야 하지만 상황이 만만찮다”고 바라봤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