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중국 사업 불안 커져, 미국 커넥티드카 규제에 '무역보복' 리스크 부각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왼쪽)가 올해 4월28일 중국 베이징에서 공산당 서열 2위인 리창 국무원 총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테슬라가 중국 정부의 무역 보복 대상으로 거론되면서 실적과 주가에 불확실성을 안게 됐다. 미국 정부가 중국 전기차를 겨냥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중국 시장에 전기차 판매를 크게 의존하는 데다 주행보조 서비스인 FSD(Full Self-Driving) 출시도 앞두고 있어 미중 갈등에 따른 리스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25일(현지시각) 로이터는 증권사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중국 당국의 보복성 무역 정책이 테슬라를 정조준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미국의 커넥티드카 규제 조치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테슬라를 겨냥한 보복 조치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산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가 장착된 커넥티드카의 미국 내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23일 발표했다. 

이번 규제는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기업이 멕시코 등에 공장을 설립해 미국에 우회 수출하는 통로까지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치명적이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커넥티드카 규제에 강하게 반발하며 “자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무역 보복을 비롯한 다양한 수단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테슬라 실적과 주가에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로 꼽힌다. 테슬라가 전체 전기차 판매량의 약 3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슬라 중국 사업 불안 커져, 미국 커넥티드카 규제에 '무역보복' 리스크 부각

▲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제조된 테슬라 차량이 2021년 5월13일 카캐리어에 실려 공장 외부로 운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테슬라의 3분기 중국 판매량이 신기록을 쓰는 등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어 중국 정부의 규제 가능성은 더욱 위협적이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테슬라의 3분기 중국 전기차 출하량이 20만 대로 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무역 보복이 테슬라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판매 감소에만 그치지 않을 수도 있다.

테슬라는 중국에서 주요 신사업인 FSD 승인을 받아 내년 1분기 정식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상하이 일부 지역에서만 10대의 차량으로 시범 운행이 이뤄지고 있다.

정식 사업화를 순조롭게 추진하려면 다양한 지역에서 차량 대수를 늘리는 등 더욱 폭넓은 승인이 필요한데 미중 갈등 상황에서 이는 다소 불리해졌다.

11월 미국 대선이 대중국 정책에 변수로 꼽히지만 어떤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중국 전기차 산업을 견제하는 정부 기조는 유지될 공산이 크다.

테슬라가 당분간 중국 정부의 무역보복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살피며 대응책을 고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됐다.

닛케이아시아는 “중국이 미국 정책에 어떻게 대응할지는 테슬라 입장에서 하나의 가능성 정도로 받아들일 문제가 아니다”라며  “중국은 테슬라의 주요 시장이자 핵심 생산기지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바라봤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