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이 구동되는 모습. <현대차그룹> |
[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자동차 구동 역사를 새로 쓸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구동 시스템을 공개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28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유니휠(UNI WHEEL) 테크데이'를 열고 기존 차량 구동 시스템에 변화를 불러올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유니휠)'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유니휠은 전기차의 주요 구동 부품을 휠 내부로 옮겨 실내 공간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기능 통합형 휠 구동 시스템이다.
현대차·기아는 기존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구조의 구동 시스템을 고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내연기관 차량은 엔진과 변속기를 거친 동력이 드라이브 샤프트와 등속(CV) 조인트를 통해 바퀴로 전달된다. 전기차 역시 엔진과 변속기가 모터, 감속기로 대체됐을 뿐 구동 전달 시스템은 내연기관차와 같다.
현대차·기아는 유니휠을 통해 자동차 개발 역사를 관통해 온 현재의 구동 시스템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유니휠은 전기차의 감속기와 드라이브 샤프트, CV 조인트의 기능을 모두 휠 안에 넣고 모터를 각 휠 가까이에 위치시킴으로써 플랫 플로어(Flat-Floor)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기존 구동시스템이 차지하던 공간을 실내공간 등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목적기반차량(PBV)과 같은 다양한 용도에 최적화한 미래 모빌리티 실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유니휠은 중앙의 선 기어와 좌우 각 4개의 피니언 기어, 가장 바깥쪽의 링 기어 등으로 이뤄진 특수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모터가 만들어낸 동력이 선 기어로 전달되면 피니언 기어들이 맞물려 링 기어를 회전시키고, 링 기어는 휠과 연결돼 있어 최종적으로 휠까지 동력이 전달되는 원리다.
유니휠은 피니언 기어들이 서로 연결돼 2개의 링키지(Linkage)를 구성하는데 이런 멀티링크 메커니즘이 유니휠의 상하좌우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두 가지 구조가 융합된 특성을 기반으로 모터에서 나온 동력을 휠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동시에 노면에 따른 휠의 움직임에 자유롭게 반응할 수 있다.
기존 CV 조인트가 적용된 드라이브 샤프트는 휠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꺾이는 각도가 커질수록 동력 효율과 내구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유니휠은 휠의 어떤 움직임에도 동력을 거의 동일한 효율로 끊김 없이 전달할 수 있어 높은 내구성과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주행 상황에 따라 차고 조절을 할 수 있는 '전자식 에어 서스펜션'과 결합하면 험로에선 차고를 높여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고 고속 주행에선 차고를 낮춰 전비와 고속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 현대차그룹이 실제 개발한 유니휠 전시물(왼쪽)과 시험용으로 제작한 유니휠 전시물(오른쪽). <현대차그룹> |
유니휠은 전기차의 감속기 역할도 대체한다.
기어 잇수가 적은 선기어와 피니언 기어들이 맞물리며 상대적으로 기어 잇수가 많은 링기어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감속비를 자연스럽게 만들어낼 수 있다.
이에 기존 구동 시스템과 같이 별도의 감속기를 두지 않아도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을 감속시켜 최종적으로 휠에서 높은 토크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현재 개발 중인 유니휠은 큰 감속비를 내도록 설계돼 작은 모터로도 높은 토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대 4개의 휠 구동력을 각각의 소형 모터로 독립 제어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조향 및 주행 안정성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토크 벡터링(각 바퀴에 전달되는 토크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유니휠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에 사용할 수 없었던 공간을 탑승자에게 되돌려줄 수 있다는 점이다.
유니휠은 기존 구동 시스템의 CV 조인트와 드라이브샤프트, 감속기의 기능을 휠 안에 넣고 동시에 휠 사이에 자리하던 모터를 소형화해 각 휠에 직결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크게 확장한다.
이에 기존의 차량 구조에선 불가능했던 새로운 시도가 가능해진다.
먼저 좌우 휠 사이 확장된 공간을 트렁크나 프렁크 등 추가 적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운전자를 중심으로 설계된 지금의 좌석 배치를 탈피해 완전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디자인도 가능하다.
해당 공간을 배터리 탑재 공간으로 활용하면 차 크기를 키우지 않더라도 주행거리가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고객 탑승공간도 크게 늘릴 수 있다.
대부분의 전기차 배터리는 차체 바닥에 배치된다. 이에 차고를 높여 설계하거나 배터리 부피만큼 승객 공간을 축소해야만 했다.
유니휠을 적용해 배터리 패키징을 최적화하면 승객 탑승공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니휠은 자동차뿐 아니라 휠체어, 자전거, 배송로봇 등 다른 종류의 모빌리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대상 모빌리티의 요구 조건에 따라 작게는 4인치부터 크게는 25인치 이상의 휠에 탑재할 수 있도록 유니휠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유니휠은 휠의 회전축을 이동할 수 있어 이에 기반해 계단을 에스컬레이터처럼 부드럽게 오르는 모빌리티도 만들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유니휠의 개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안정성과 효율성, 내구성 등을 지속 검증하고 있다. 앞으로 기어비 조정 및 윤활 냉각 시스템 고도화 등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을 세웠다.
현대차·기아는 유니휠과 관련된 특허 8건을 국내와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에 출원 및 등록했다.
박종술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수석연구위원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혁신적 아이디어를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며 "고객들이 모빌리티를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
▲ 기존 전기차의 차체 하부 구조를 반영한 모델카(왼쪽)와 유니휠이 장착된 차체 하부 구조를 반영한 모델카(오른쪽). <현대차그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