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솔루션 재생에너지 확대 위한 유연성자원 활성화 제언, "다층적 전력시장 필요"

▲ 두산에너빌리티의 8MW 해상풍력발전기. <두산에너빌리티> 

[비즈니스포스트]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전력시장으로의 전환과 함께 유연성 자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유연성 자원은 전력계통에서 전기 공급과 소비를 유연하게 해주거나 유연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기술과 자원을 총칭한다.

대표적으로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물을 끌어올려 위치에너지로 전환했다가 수력으로 발전하는 양수발전, 전기 소비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전력 소비 시간대를 바꾸도록 유도하는 수요반응자원(DR), 흩어진 전력을 모아뒀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가상발전(VPP) 등이 있다.

기후환경단체 기후솔루션은 22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에너지 전환의 열쇠: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유연성 자원 활성화 정책 제언’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기후솔루션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시장의 변화와 유연성 자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먼저 대규모·중앙집중형 화력발전 중심의 전력시장에서 소규모·분산형 재생에너지에 맞는 전력시장으로 전환이 중요하다고 봤다.

기후솔루션은 현행 전력시장이 과거 화력발전 위주의 단순한 전력계통에서는 유효했지만 앞으로의 다양성을 반영하기는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여러 발전원의 시장 참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현재 전력시장에서는 하루 전에 발전사들로부터 공급 가능 용량을 입찰받는 현물시장만 운영되고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시장, 보조서비스(예비력) 시장, 현물시장 외 장·단기 계약시장을 포함하는 전력시장 개편 등을 통해 유연성 자원이 자리 잡을 수 있게 하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이 다층적으로 형성돼야 다양한 가치를 지닌 유연성 자원에 경제적 유인을 주는 제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유연성 자원은 전력계통에서 전기 공급과 소비를 유연하게 해주거나 유연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기술과 자원을 총칭한다.

대표적으로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물을 끌어올려 위치에너지로 전환했다가 수력으로 발전하는 양수발전, 전기 소비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전력 소비 시간대를 바꾸도록 유도하는 수요반응자원(DR), 흩어진 전력을 모아뒀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가상발전(VPP) 등이 있다.

현재 전력시장에서는 유연성 자원이 확대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화력발전 중심의 단일 구조 전력시장은 발전사업자가 손실을 보지 않게 하는 총괄원가 보상원칙을 적용하고 있고 발전사가 입찰가가 아닌 연료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변동비 반영시장의 특징을 띤다.

이런 제도는 화력발전설비에 일정 수준의 수익성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화력발전이 사업성을 유지할 수 있게 경제적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총괄원가 보상원칙과 변동비 반영시장이 제도로 구현된 것이 용량요금과 보조서비스 정산금인데 이는 재생에너지나 유연성 자원에는 지급되지 않고 있다. 용량요금은 얼마나 큰 용량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느냐에 따라 정산받는 금액, 보조서비스 정산금은 계통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주파수 조정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가로 받는 금액을 말한다.

이 보고서 저자인 김자현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이대로는 한국은 공중전화 쓰던 시절의 시스템으로 5G(5세대) 통신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현재 한국 전력시장은 주요 에너지원으로 부상하는 재생에너지나 관련 유연성 자원이 아니라 화력발전의 경제성을 보장해주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이어 “새로운 전력 시스템에 걸맞은 다양한 신규 유연성 자원에 적절한 가격신호를 전달하도록 공평하고 투명한 선진 전력시장 구조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