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3주째 30%대 초반에 머물렀다.

조국 신당을 향한 지지율은 1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국 신당 등장에 따른 국민의힘 지지율 변화는 거의 없는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토마토] 윤석열 지지율 32.2%, '조국 신당' 지지하겠다 8.3%

▲ 영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런던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 만찬 간담회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디어토마토가 2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평가가 32.2%, 부정평가는 64.7%로 집계됐다.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는 지난주 조사(14일 발표)보다 각각 0.7%포인트, 0.4%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많았다. 대구·경북은 긍정평가(60.7%)가 부정평가(37.4%)보다 23.3%포인트 높았다.

부산·울산·경남과 서울의 부정평가가 지난주보다 각각 2.5%포인트, 7.7%포인트 늘어난 반면 경기·인천의 부정평가는 1.8%포인트 줄었다.

지역별 부정평가는 광주·전라 84.2%, 경기·인천 68.8%, 서울 66.2%, 대전·세종·충청 62.2%, 부산·울산·경남 62.6%, 강원·제주 58.7%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많았다. 70대에서는 긍정평가 53.3%, 부정평가 44.0%로 조사됐다. 60대에서는 긍정평가 47.8%, 부정평가 47.5%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른 연령별 부정평가는 40대 79.6%, 20대 75.6%, 30대 71.4%, 50대 67.0% 순으로 조사됐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의 부정평가가 69.3%였다. 보수층의 긍정평가가 65.5%인 반면 진보층에서는 부정평가가 92.6%에 달했다. 보수층의 긍정평가는 지난주보다 7.7%포인트 높아졌다.

정당지지도에서는 국민의힘 32.7%, 더불어민주당 45.0%로 집계됐다. 두 정당의 지지율 차이는 12.3%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주 조사보다 1.2%포인트 상승했고 민주당 지지율도 지난주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정의당은 2.8%, ‘지지정당 없음’은 15.5%였다.

이른바 ‘조국 신당' 창당을 가정했을 때 정당지지도는 민주당 38.9%, 국민의힘 32.0%, 조국 신당 8.3%, 정의당 3.4% 등으로 나타났다. 이외 ‘기타 정당’ 4.0%, ‘지지 정당 없음’ 11.4%, ‘잘 모름’ 1.9% 등이었다.

기존 여야 3당 지지도 조사 결과를 대입해 보면 조국 신당 지지층의 70.6%가 민주당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조국 신당 지지층은 9.4%였다. 정의당을 지지하는 신당 지지층도 5.6%로 조사됐다. 

내년 총선에 적용될 비례대표제도와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33.2%는 과거와 같이 정당득표율 대로 의석수를 배분하는 병립형, 32.6%는 소수정당 국회 진출이 가능한 완전연동형을 선호한다고 대답해 의견이 팽팽하게 나뉘었다.

반면 거대 양당 위성정당 출현이 가능한 현행 준연동형제를 선호한다는 응답은 13.8%로 조사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0.5%였다.

박민 사장 취임 직후 KBS에서 벌어진 일부 진행자 교체·프로그램 편성 제외 과정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52.8%가 “KBS에 대한 정권 차원의 방송장악 시도”라고 대답했다. 반면 29.5%는 “KBS가 공영방송 정상화의 과정을 밟고 있는 것”이라고 응답했다.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17.7%였다.

민주당이 추진하는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에 찬반을 물었더니 ‘찬성’이 48.3%로 ‘반대’(33.7%)보다 14.6%포인트 높았다.

이번 조사는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18일과 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8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ARS(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3년 10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값(셀가중)이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