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제주항공의 국제선 승객 수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20일 국토교통부의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올해 10월 국제선 운항편 4196편, 공급석 79만1304석, 수송객 68만1187명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10월보다 운항편수는 219.8%, 공급석은 221.8%, 수송객은 232.7% 각각 늘어났다.
2019년 10월과 비교해서는 운항편 98.5%, 공급석 98.4%, 수송객 103.0% 수준을 기록했다.
제주항공은 “효율적인 기재 운영과 중단거리 노선 위주의 선제적이고 탄력적인 노선 운영 전략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은 일본을 중심으로 중단거리 노선의 빠른 회복에 집중했다. 그 결과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국적항공사 가운데 일본노선에서 가장 많은 승객을 수송했다. 승객 수 기준 점유율은 20.8%에 이른다.
또한 괌·사이판 노선은 점유율 38.1%, 필리핀 노선도 점유율 29.0%로 각각 집계됐다.
제주항공은 ‘노선 다변화’에 본격적으로 집중한다는 방침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일본 소도시 노선의 운항횟수를 늘리고 제주~마카오·베이징, 부산~울란바토르·보홀 등 지방발 국제선도 확대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의 지난달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저비용항공사(LCC) 시장 규모는 2023년 1891억 달러에서 2028년 3154억 달러로 연평균 8.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도시 간 연결성을 높여 짧은 일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은 비즈니스 여행객을 중심으로 저비용항공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노선과 운항스케줄로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며 "엔데믹 시장을 선도하는 항공사로서 ‘No.1 LCC’ 지위를 더욱 견고하게 다지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20일 국토교통부의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올해 10월 국제선 운항편 4196편, 공급석 79만1304석, 수송객 68만1187명을 각각 기록했다.

▲ 제주항공의 국제선 승객 수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지난해 10월보다 운항편수는 219.8%, 공급석은 221.8%, 수송객은 232.7% 각각 늘어났다.
2019년 10월과 비교해서는 운항편 98.5%, 공급석 98.4%, 수송객 103.0% 수준을 기록했다.
제주항공은 “효율적인 기재 운영과 중단거리 노선 위주의 선제적이고 탄력적인 노선 운영 전략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은 일본을 중심으로 중단거리 노선의 빠른 회복에 집중했다. 그 결과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국적항공사 가운데 일본노선에서 가장 많은 승객을 수송했다. 승객 수 기준 점유율은 20.8%에 이른다.
또한 괌·사이판 노선은 점유율 38.1%, 필리핀 노선도 점유율 29.0%로 각각 집계됐다.
제주항공은 ‘노선 다변화’에 본격적으로 집중한다는 방침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일본 소도시 노선의 운항횟수를 늘리고 제주~마카오·베이징, 부산~울란바토르·보홀 등 지방발 국제선도 확대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의 지난달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저비용항공사(LCC) 시장 규모는 2023년 1891억 달러에서 2028년 3154억 달러로 연평균 8.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도시 간 연결성을 높여 짧은 일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은 비즈니스 여행객을 중심으로 저비용항공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노선과 운항스케줄로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며 "엔데믹 시장을 선도하는 항공사로서 ‘No.1 LCC’ 지위를 더욱 견고하게 다지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