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진에어가 3분기도 영업이익을 내 4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진에어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3225억 원, 영업이익 326억 원, 순이익 210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9일 공시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84.8% 늘었다. 영업손익과 순손익은 모두 흑자로 돌아섰다. 영업이익 기준 4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진에어는 "해외여행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여름 성수기와 추석 연휴 국제선 운항을 늘려 실적을 개선했다"며 "고유가와 고환율 등 부정적 외부 요인에도 운영 효율성을 끌어올려 수익성까지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진에어의 올해 3분기 국제선 사업은 코로나19 이전의 96%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파악됐다.
진에어 관계자는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라 동남아 노선 실적이 개선되고 일본 노선의 수요 강세도 지속될 것이다”며 “효율적 기재 운영, 신규 취항 등 탄력적 공급 조정, 체계적 비용 관리 등을 통해 수익률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진에어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3225억 원, 영업이익 326억 원, 순이익 210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9일 공시했다.

▲ 진에어가 3분기도 영업이익을 내 4개 분기 연속 흑자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84.8% 늘었다. 영업손익과 순손익은 모두 흑자로 돌아섰다. 영업이익 기준 4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진에어는 "해외여행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여름 성수기와 추석 연휴 국제선 운항을 늘려 실적을 개선했다"며 "고유가와 고환율 등 부정적 외부 요인에도 운영 효율성을 끌어올려 수익성까지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진에어의 올해 3분기 국제선 사업은 코로나19 이전의 96%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파악됐다.
진에어 관계자는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라 동남아 노선 실적이 개선되고 일본 노선의 수요 강세도 지속될 것이다”며 “효율적 기재 운영, 신규 취항 등 탄력적 공급 조정, 체계적 비용 관리 등을 통해 수익률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